
27일 국토교통부는 지자체와 합동으로 전세사기 계약을 중개한 공인중개사를 대상으로 특별점검을 추진한다.
국토부에 따르면 최근 2년 새 HUG 보증사고 8242건 중 중개계약은 4780건에 달한다. 이중 수도권 사례가 4380건이다. 중개거래 보증사고 중 94%가 수도권에 집중된 셈이다. 국토부는 서울시와 인천시, 경기도와 함께 합동점검반을 구성해 오는 5월까지 현장 점검 등을 진행한다.
특히 대위변제 사례가 3건 이상으로, 미회수금액이 2억원 이상인 ‘악성임대인’ 리스트와 대조해 악성임대인 소유 주택을 2번 이상 중개한 공인중개사에 대해서는 현장조사를 시행한다. 현장조사에서는 공인중개사 자격증 대여나 고용인 미신고, 중개대상물 확인·설명 의무 이행현황 등을 함께 점검한다.
국토부는 전세 계약 과정에서 중요한 정보를 거짓 제공했거나 중개보수 과다 요구, 가격 담합 등의 위중한 위법행위에 대해서는 관련 증거자료 확보 후 경찰에 수사를 의뢰할 예정이다. 또 전세사기 가담 공인중개사에 대해서는 ‘원스트라이크 아웃’ 제도를 확대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원희룡닫기

강북구의 한 공인중개사 대표는 “이번 국토부 특별점검은 긍정적인 측면이 크다. 전국 어느 지역마다 위험하다고 생각되는 물건을 처리하는 공인중개사는 꼭 있다”며 “이런 공인중개사들 때문에 사고가 끊이질 않고, 공인중개사들의 신뢰감이 떨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기 의도가 없는 빌라 주인에게 전세값을 최대한 끌어올리고 거래를 유도하는 컨설팅·공인중개사들이 정말 많다. 문제는 이런 작은 부추김이 결국 전세사고로 이어진다는 게 이 대표의 설명이다.
주현태 기자 gun1313@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