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흥국화재는 이같이 밝히며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1465억원, 영업이익은 1864억원, 매출액은 4조5289억원이라고 발표했다. 또 이는 전년 대비 각각 136.3%, 141.8%, 0.3% 늘어난 수치라고 덧붙였다. 흥국화재의 순익은 2020년 227억원, 2021년 620억원을 기록한 바 있다.
장기보장성보험은 올해 도입된 신회계제도(IFRS17) 하에서 이점이 있는 상품이다. 사업비 절감과 위험 관리가 용이해서다. IFRS17은 자산뿐만 아니라 부채도 평가를 원가에서 시가로 변경한다.
흥국화재의 장기보험 실손보험 손해율 개선을 바탕으로 장기손해율을 2021년 103%에서 지난해 95%로 8%p 끌어내렸다. 그동안 신용평가업계는 흥국화재의 경우 위험손해율은 업계 평균 대비 높은 상황이라며 실손손해율 개선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위험손해율은 보험상품을 판매한 후 지급하는 보험금을 예정위험 보험료로 나눈 값이다. 위험손해율이 100%보다 낮을 때 지급보험금이 예정위험 보험료보다 적다고 판단되며 위험률차익이 발생한다.
흥국화재 관계자는 “올해도 보장성 인보험 등의 수익을 극대화해 실적 성장을 이어갈 전망”이라며 “‘맘편한 자녀사랑보험’과 지난해 선보인 신규 암보험상품 ‘내일이 든든한 암보험’ 등 수익성이 높은 보장성보험에 주력하며 안정적인 손해율과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하겠다”고 했다.
이어 “우량상품 중심 매출 확대와 손해율 관리, 판매채널 차별화 등 다양한 전략을 세워 추진하고 있다”며 “IFRS17, 신지급여력제도(K-ICS)와 관련한 자본건전성과 경영관리체계를 효율적으로 구축하는 등 지속적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