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으다)', '빚투(빚내서 투자)' 등에 나선 29세 이하 청년층의 부채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통계청(청장 한훈), 한국은행(총재 이창용닫기


2022년 3월 말 기준 가구당 평균 부채는 9170만원으로 전년(8801만원) 대비 4.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부채는 담보대출 5381만원, 신용대출 1008만원, 신용카드 관련 대출 71만원 등이다.
금융부채 비중은 전체 가구 빚의 74.2%를 차지했다.
가구주 연령대 별로 보면 29세 이하(15세 이상의 경제활동이 가능한 인구)의 부채가 전년 동기 대비 41.2%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 두드러졌다.
50대(6.8%), 60세 이상(6.0%)의 노년층에서 부채 증가율도 높았다.
가구주 연령대별 부채 보유액으로 보면 40대가 1억2328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부채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29세 이하 부채 보유액은 5014만원이다.
종사자 지위별로는 자영업자의 평균 부채 증가율이 4.4%로 가장 높았다. 상용근로자 가구의 부채 증가율은 3.3%로 나타났다.
종사자 지위별 부채 보유액 기준으로도 자영업자 가구가 1억2381만원으로 가장 많았는데, 임대보증금 비중은 21.0%였다.
소득분위 별 평균 부채를 보면 최상위층인 5분위가 2억637만원로 가장 많았다. 이는 1분위 가구 부채(1716만원)에 비해 12배 많고, 전체 가구 부채의 45% 수준이다.
부채 증가율은 3분위가 6.5%로 가장 높았고, 반면 1분위는 2.2% 감소했다.
전체 가구의 57.3%가 금융부채를 보유한 것으로 집계됐다. 평균 금융부채는 1억1879만원이었고, 소득은 7357만원, 자산은 6억251만원으로 집계됐다.
금융부채 보유 가구 중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응답한 가구 비율은 64.4%로 전년 대비 1.2%p 소폭 줄었다.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전년 대비 0.8%p 감소한 16.7%이며, 저축액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0.9%p 줄어든 79.6%였다.
2022년 3월말 기준 가구의 평균 자산은 5억4772만원으로 전년대비 9% 증가했다.
금융자산 보유가구 비율은 전년과 유사했으나 실물자산은 1.0%p 감소했다.
가구의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4억5602만원으로 전년대비 10% 증가했다.
2021년 가구 평균 소득은 6414만원으로, 전년대비 4.7% 증가했다. 처분가능소득은 5229만원이다.
작년 경기·고용상황 개선 등으로 근로(+7.0%)·사업(+2.2%)소득은 증가한 반면, 공적이전소득(-0.3%)은 약보합했다.
기획재정부는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주요내용과 시사점' 자료에서 "높은 순자산 증가율, 원리금상환액/처분가능소득 전년대비 감소 등 감안시 가계의 부채상환 여력은 개선됐으나, 다만 최근 금리 상승 및 부동산 가격 하락세 지속 등으로 현재 체감하는 경기상황과 2022년 조사결과가 상이할 가능성이 있다"며 "취약계층의 고용·사회안전망 강화 등 약자복지 강화, 물가안정 등을 통해 저소득층 가구부담을 완화하고, 민간 중심으로 소득·분배여건이 개선될 수 있도록 경제활력 제고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