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훈 미래에셋증권 디지털플랫폼본부장(사진)은 25일 한국금융신문과 인터뷰에서 국내주식, 해외주식, 연금 및 금융상품 앱을 통합한 자사 ‘M-STOCK(엠-스탁)’에 대해 “‘투자의 모든 경험(All About Investment)’이라는 고객 가치를 제시하는 데 주력했다”고 설명했다.
메뉴·화면 개수 대폭 줄여…초기화면 승부수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2022년 7월 ‘M-STOCK’을 정식 개시했다. 김 본부장은 “기존 MTS(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의 가장 큰 불만 요인(Pain-Point)으로 꼽힌 분리된 채널 사용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데이터 중심 콘텐츠 구성으로 실시간 종목순위, 수익률 상위 1% 고객이 사는 종목, 국가 별 개장시간, 공모주 청약 등 관심 정보를 초기화면에서 바로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고객 동선을 재구성했다. 어떤 상품에 투자하든 고객 보유자산이 시작점(starting point)이 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개선했다고 소개했다. 메뉴 그룹핑도 ‘준비하기, 투자하기, 관리하기’ 단계로 설계했다. 낮과 밤 시간 변화에 따라 화이트/다크 모드 디자인이 자동 전환된다. 김 본부장은 "이번 통합앱은 단순한 편의성 증대 차원을 넘어 고객을 투자의 중심에 두었다"고 말했다.
특히 금융투자업계 최초로 마이데이터(My Data) 라이센스를 취득한 점도 강점으로 삼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업계 처음으로 지난 2022년 4월 마이데이터 기반 ‘신용점수 올리기’ 서비스를 출시했다. 투자경험 관점에서 ‘올인원 AI Dr.Big 투자진단’ 서비스를 통해 맞춤형 자문서비스를 보다 정교화했다.
김 본부장은 “예컨대 삼성전자를 검색하면 주식뿐만 아니라 편입된 ETF(상장지수펀드)가 무엇인 지, 구성종목 중 몇 퍼센트인 지 등 금융상품까지 찾아주는 AI(인공지능) 기술 기반 통합 검색을 제공한다”며 “AI 기반 맞춤형 투자정보 구독서비스인 ‘투자NOW’(피드)를 통해 흩어져 있던 뉴스, 리서치 자료 등 고객자산과 연관된 투자정보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투자콘텐츠·자문역량 모바일화 중점”
해외동향 중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대중 부유층(Mass Affluent)’이라는 새로운 고객층이 부각되고 있는 점을 주목하고 있다고 했다. 디지털 채널에 익숙하지만, 동시에 맞춤형 어드바이저 서비스를 원하는 것이다. 뱅가드의 ‘PAS(Personal Advisor Services)’ 서비스가 대표 사례다. 김 본부장은 “미래에셋증권 역시 디지털과 인적 서비스가 결합된 하이브리드(hybrid)형 자산관리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손안의 투자’ 경쟁 상대가 되고 있는 빅테크(big tech) 투자 플랫폼 대응 전략에 대해서도 김 본부장은 “전통 증권사의 비대칭 전력은 금융전문성과 오프라인 채널 경쟁력이라고 생각한다”며 “투자의 본질은 더 깊게, 투자의 경계는 더 넓게 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주거래 은행계좌를 넘어 이른바 주거래 투자계좌 시대에 가장 중요한 것은 ‘자문(Advisory) 역량’이라고 꼽기도 했다. 김 본부장은 "AI PB(인공지능 프라이빗뱅커), 연금 로보어드바이저, 마이데이터 연계 등 미래에셋증권 강점인 투자 콘텐츠와 자문 역량 모바일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미래에셋증권 통합앱 단기 목표는 ‘MAU(월간활성사용자수) 300만명’을 제시했다. 김 본부장은 “300만명은 증권사 앱 톱티어(Top-tier) 수준으로 플랫폼 확장 가능성이 있는 숫자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라며 “이후 목표는 자기주도(Self-Direct) 고객에게 최고의 초(超)개인화 어드바이저를 제공하는 국내 최고 자산관리 플랫폼으로 포지셔닝하는 것으로, 내년 다양한 개인화 서비스 출시와 홈 개편을 예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