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가 최남석 전북대 무역학과 교수에게 의뢰해 진행한 '한국경제 산업 핵심 물자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를 30일 공개했다.
228개 품목 가운데 기업간거래가 많고, 우리나라 수출품 가운데 중국재로 사용되는 비중이 높아 공급망 안정성이 취약한 133개 품목도 제시됐다. 해당 품목 역시 중국산 비중(95.4%)이 다수를 차지했다.
이 같이 관리가 필요한 중국산 수입품목은 전기제품, 기계 및 컴퓨터, 철강, 유·무기 화합물, 유리, 의료용품, 비철금속 등 산업용 원자재가 주를 이뤘다.
특히 자동차산업 원재료는 중국산 의존도가 높았다. 강철 필수소재인 망간, 전기차배터리 음극재에 사용되는 흑연, 차량용 경량화 소재 마그네슘 등이다.
최남석 교수는 "핵심 수입품목에 대한 수급 관리를 못하면 언제든지 요소수 대란 같은 공급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와 상하이 봉쇄 조치가 장기화하면서 글로벌 공급망 위기가 악화하고 있다"며 "수입선 다변화, 글로벌 공급망 동맹 적극 참여 등을 통해 중국 편중 현상을 해소해야 한다"고 했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