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곽호룡 기자] 우리나라가 중점 관리해야 하는 수입품목 대부분이 중국산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산 수입품은 국내 수출품을 만드는 데 필요한 원재료 비중이 커, 돌발 상황에서 공급 안정망이 위태로워질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최남석 전북대 무역학과 교수에게 의뢰해 진행한 '한국경제 산업 핵심 물자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를 30일 공개했다.
보고서는 수입의존도가 90% 이상이고, 수입규모가 커 무역특화지수가 절대열위인 최상위 30%인 228개 품목을 제시했다. 이 품목은 중국산이 172개(75.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일본산은 32개(14%), 미국산 25개(10.5%) 순이었다.
228개 품목 가운데 기업간거래가 많고, 우리나라 수출품 가운데 중국재로 사용되는 비중이 높아 공급망 안정성이 취약한 133개 품목도 제시됐다. 해당 품목 역시 중국산 비중(95.4%)이 다수를 차지했다.
이 같이 관리가 필요한 중국산 수입품목은 전기제품, 기계 및 컴퓨터, 철강, 유·무기 화합물, 유리, 의료용품, 비철금속 등 산업용 원자재가 주를 이뤘다.
특히 자동차산업 원재료는 중국산 의존도가 높았다. 강철 필수소재인 망간, 전기차배터리 음극재에 사용되는 흑연, 차량용 경량화 소재 마그네슘 등이다.
최남석 교수는 "핵심 수입품목에 대한 수급 관리를 못하면 언제든지 요소수 대란 같은 공급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 교수는 글로벌 공급망 안정성이 취약한 133개 품목에 대해 조기경보관리 체계를 수립해야 하자고 제안했다. 특별 관리가 필요한 대표적인 품목은 산화텅스텐, 염화칼슘, 비디오카드, 태양관 모듈, 농약원제(이상 중국산), 방부제·살균제 원재료 레조르시놀(일본산), 나일론 합성원료인 헥사메틸렌디아민(미국산) 등이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와 상하이 봉쇄 조치가 장기화하면서 글로벌 공급망 위기가 악화하고 있다"며 "수입선 다변화, 글로벌 공급망 동맹 적극 참여 등을 통해 중국 편중 현상을 해소해야 한다"고 했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