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회장은 2일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새 정부의 산은 부산 이전이 충분한 토론과 공론화 절차 없이 이뤄지고 있어 심히 우려스럽다”며 “잘못된 결정은 되돌릴 수 없는 결과와 치유할 수 없는 폐해를 야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내년 9월 임기 만료를 약 1년5개월 남긴 지난달 26일 금융위원회에 사의를 표명했다.

특히 산은 부산 이전이 부울경에 2조~3조원의 부가가치 창출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주장에 대해선 “전혀 근거가 없다”며 “국가 경제에 미치는 막대한 마이너스 효과는 무시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2조~3조원 창출은 확인되지 않은 주장이지만, 국가 경제에 20조~30조원 마이너스가 발생하는 건 어떻게 할 것인가. 황당한 주장을 안 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역 균형발전의 취지에 누가 동의하지 않겠느냐”며 “다만 지역 균형발전은 국가 전체의 발전을 위한 것이어야 하고, 지속 가능해야 하는 것이지 그렇지 않으면 그냥 지역에 퍼주기”라고 비판했다. 또 오세훈닫기

이 회장은 지난 5년간 산은이 해결한 대기업 구조조정 성과도 강조했다. 그는 “2017년 9월 취임 당시 정리되지 않은 현안 부실기업이 즐비했고 대규모 부실기업만 10여 개에 달했다”며 “은행 금고는 텅 비어 자본잠식 직전 수준이었다. 조선·해운업 등에 대한 거액의 대손 비용 등으로 취임 전 3∼4년간 주요 부실기업 구조조정 관련 손실액은 14조5천억원, 당기순손실만 5조5000억원에 이르렀다”고 주장했다.
그는 “하지만 금호타이어, 한국지엠, 대우건설, 두산중공업 등 11개 기업의 구조조정을 완료했다”며 “2017년 이후 5년간 정부에 지급한 배당금과 납부한 법인세만 2조2102억원에 이른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대우조선해양, KDB생명, 쌍용차 매각 차질에 대해선 “책임을 통감한다”면서도 “3건을 이유로 구조조정을 한 게 없다고 하면 잘못”이라고 말했다.
대우조선해양, 쌍용차의 구조조정 방향에 대한 소신도 밝혔다. 그는 “대우조선은 기업 차원이 아니라 산업 차원에서 풀어야 할 문제로, 조선업 차원의 구조조정이 꼭 필요하다”며 “국내 조선 3사가 공존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닌 만큼 빅2 체제로 개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쌍용차와 관련해선 “본질적인 경쟁력이나 지속가능성이 매우 취약해 지속가능한 사업성이 증명되지 않으면 자금지원만으로는 회생이 어렵다”며 “회생법원이 결단을 내려야 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이 회장은 이번 사의 배경에 대해 “산은은 은행인 동시에 정부 정책을 금융 측면에서 집행하는 정책기관”이라며 “정부와 정책 철학을 공유하는 사람이 회장직을 수행하는 게 순리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정부 교체기마다 정책기관장 교체와 관련한 잡음, 흠집 잡기, 흔들기 등이 나타나는데, 이런 소모적 정쟁 행태가 5년 주기로 반복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정책기관장 임기를 대통령 임기와 맞추는 법 개정이 필요하지 않나 싶다. 중요 정책기관을 선별해서 임기를 5년이나 2년 5개월로 하고 그 외 기관들의 임기는 존중해주는 것이 성숙하고 선진적인 관행”이라고 강조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