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금감원 노조는 21일 성명서를 통해 "금감원 고위층은 두 사건(채용비리 사태, 사모펀드 부실 감독)과 관련해 책임을 지기는커녕 오기와 변명으로 일을 키웠다"고 지목했다.
노조는 사모펀드 감독 소홀에 대한 비판이 제기될 당시 윤석헌닫기
윤석헌기사 모아보기 전 금감원장 등이 본인 책임을 인정하지 않는 등 고위층이 책임을 외면했다고 비판했다.노조는 "기재부와 감사원이 요구한 쇄신의 책임이 무고한 직원에게 연대책임의 형태로 전가됐다"며 "수년 간 지속된 연대책임이라는 부조리와 바늘귀처럼 좁아진 승진 기회에 젊고 유능한 직원들이 금감원을 속속 떠나고 있다"고 제시했다.
노조는 "후임 정은보닫기
정은보기사 모아보기 금감원장이 채용비리 책임자에 대해 구상권을 행사하는 등 노력하고 있다"며 "공공기관 지정 문제로 금감원의 미래가 더 이상 좀 먹지 않도록 무고한 직원들의 희생을 높이 평가해달라"고 기재부에 요청했다. 금감원은 자율성과 독립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취지로 2009년 공공기관에서 해제됐다. 하지만 2016년 채용비리 사태와 2019년 사모펀드 부실 감독 사태 등 논란이 일면서 공공기관으로 재지정해야 한다는 논의가 대두됐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ECM] 빅딜 IPO 수수료율, '1%'도 높은 벽…중소형 단독주관 '실속'](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setimgmake.php?pp=006&w=110&h=79&m=5&simg=2025110614033105451179ad43907222110701.jpg&nmt=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