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2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는 총 1404건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20대 이하와 30대가 매입한 건수는 506건으로 전체의 36.0%에 해당된다. 이는 2020년 5월(32.1%)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기도 하다.
또한 서울을 떠난 인구 2명 중 1명이 2030세대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서울의 2030세대는 총 286만명이다. 다만 7년 전과 비교해 2030세대 인구는 8.2% 감소했다. 이는 서울시 전체 인구 감소 비율 5.1%보다 높다.
전출 사유는 20대는 가족과 직업 때문이다. 30대는 주택과 가족 등 이유다.
실제로 서울 아파트 가격은 전국 평균의 두 배가 넘는다. KB국민은행 통계를 보면 지난달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2억7334만원, 전국 평균은 5억5935만원이다.
집값이 높은 상황에서 대출 규제까지 강화되자 서울에서 2030세대의 매수세 정체가 두드러진 모습이다.
이어 올해 1월부터 2단계 규제가 시행되면서 총 대출액이 2억원을 초과하는 차주에 대해 DSR 40%를 적용하게 됐다.
또한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최상단 금리는 2012년 이후 10년 만에 연 6%대를 돌파했다. 전세자금대출도 최고금리가 연 5%대를 넘어섰다.
특히 미국 연방준비제도와 한국은행이 금리 인상 등을 예고하고 있어 대출금리 상승세는 가팔라질 전망이다.
전문가는 차기 정부가 부동산 관련 대출 정책을 내놓기 전까지 2030세대의 관망세는 지속될 것이라고 봤다.
윤석열닫기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 팀장은 “차기 정부가 5월 정식으로 출범하고 빠르면 2~3개월 안에는 부동산 관련 대책이 나온다. 그 전까지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2030세대의 관망세는 이어질 전망이다”며 “다만 집값 상승이 작년 수준에 미치지 못할 가능성이 커 매수세가 뜨겁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관주 기자 gjoo@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