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총회를 주재한 권순호 대표이사를 비롯한 경영진이 재차 ‘환골탈태’를 약속하며 안전사고 재발 방지와 수습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약속했고, 주주와 국민들의 신뢰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각오도 다졌다.
현대산업개발이 추산한 광주 아이파크 붕괴사고의 추정 손실액은 1754억원 규모였다. 붕괴 사고가 난 201동을 철거하는 경우, 2단지 전체를 철거하는 경우, 1·2단지 모두 철거하는 경우를 각각 3분의 1씩 반영했다. 일부는 지난해, 나머지는 올해 반영될 전망이며 아직까지 확실한 손실액 규모가 확정되지는 않은 상태다.
이처럼 어려운 상황임에도 HDC현산은 최근 지속적인 자사주 매입 및 차입금 실행 등 책임경영 의지를 놓지 않고 있다.
정몽규닫기
정몽규기사 모아보기 HDC 회장이 지분 100%를 보유한 ‘엠엔큐투자파트너스’는 올해 2월 24일에 3만347주, 3월 15일부터 3월 16일까지 이틀간에 걸쳐 8만3051주를 매수해 총 HDC 보통주 총 11만3398주를 장내 매수했다. 이들은 지난달 11일부터 15일까지 3거래일 동안에도 HDC 보통주 총 17만800주를 장내 매수한 바 있다.지난 25일 HDC현산은 공시를 통해 증권사를 비롯한 금융기관으로부터 5100억원의 유동성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달 16일 확보된 3000억 원을 포함하면 약 8100억원 가량의 유동성이 생긴 셈이다.
사고 이후 현산은 필사의 각오를 다지며 관양현대아파트·노원 월계동신아파트 재건축사업 등을 수주하기도 했다. 향후 HDC현산에 정부의 영업정지나 면허취소 조치가 이뤄지더라도 기존에 맡은 공사는 마무리할 수 있다.
다만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관련 주주(0.01% 이상 보유)가 이사회의 안건을 제안할 수 있도록 하자는 '권고적 주주제안 신설' 건은 부결됐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기술특례상장 1호’ 헬릭스미스, 새주인 만나 ‘명예회복’ 시동 [시총 2위의 추억 ③-끝]](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setimgmake.php?pp=006&w=110&h=79&m=5&simg=2025110223333102639dd55077bc211821821462.jpg&nmt=18)


![중대재해로 고개 숙인 건설사…“안전 최우선” 결의 다짐 [2025 국감 결산 - 건설사]](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setimgmake.php?pp=006&w=110&h=79&m=5&simg=2025110223514402676dd55077bc211821821462.jpg&nmt=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