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당선자는 영상으로 공개한 '59초 쇼츠 생활공약'을 통해 전기차 충전요금을 5년간 동결하겠다고 공약했다.
윤 당선인이 어떤 가격을 기준으로 5년간 동결할지에 대해선 아직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현재 적용되고 있는 특례할인을 연장하거나 새로운 요금체계를 도입할 가능성도 있다.
윤 당선인은 전기·수소차 충전소 인프라 관련 규제도 완화하겠다고 약속했다.
현행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에 따르면 전기차충전기는 주유기로부터 6m, 탱크주입구로부터 4m 떨어뜨려 설치해야 한다. 이 때문에 주유소 기반의 전기차 충전소 인프라 확대에 제약이 있다. 또 현행법은 주유소 내에 수소차 충전설비인 연료전지를 설치할 수 없는데, 윤 당선인은 이 같은 제약을 개선하겠다고 했다.
이 밖에 윤 당선인은 택시에 안전시스템(차로이탈방지·전후방충돌방지) 장착을 의무화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예를 들어 현대 쏘나타 택시의 경우 경제형 트림에 차로이탈방지·전방충돌방지 시스템을 달려면 110만원 상당의 패키지(현대 스마트센스)를 구매해야 한다. 여기에 후측방충돌방지 시스템을 추가하려면 47만원을 더 줘야한다.
윤 당선인은 국가보조금 등을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