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21년 8월과 11월, 2022년 1월까지 세 차례 인상 결정을 한 후 '숨 고르기' 동결을 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기준금리를 2020년 3월에 50bp, 5월에 25bp씩 잇따라 내려 사상 최저 금리 동결 기조를 이어오다가 1년 3개월 만에 조정한 것이다. 이후 작년 10월 동결을 거쳐 11월 금통위에서 '제로금리'를 탈피하는 25bp 인상을 단행했다. 그리고 2022년 새해 첫 금통위에서 25bp를 올리는 연속 인상으로 금리는 코로나19 발발 직전 수준까지 올라섰다.
이번 기준금리 동결은 그간 인상의 파급효과를 들여다 볼 것이라는 예상에 대체로 부합한다.
금융투자협회가 지난 2월 11~16일 채권 보유·운용 관련 종사자 100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8%가 이번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동결 결정을 예상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관련 불확실성이라는 변수가 부각되면서 오는 3월 미국 연준(Fed)의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그동안 예상한 대폭 인상보다 다소 완만한 결정이 전망되는 점도 금리 유지에 힘을 실었을 것으로 풀이된다. 또 한국이 3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있는 점도 시장에서 주목했다.
금통위는 국제금융시장 관련 미국 연준(Fed)의 정책금리 인상 속도에 대한 우려, 우크라이나 사태 등 영향으로 주요국 국채금리가 큰 폭 상승하고 주가는 상당폭 하락하는 등 변동성이 확대된 점 등을 꼽았으며,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적절히 조정해 나가기로 금리정상화 지속을 시사했다.
실제 '영끌', '빚투' 등 누적된 가계부채에 따른 금융불균형 우려, 글로벌 공급병목, 유가, 원자재 가격 상승 등 인플레이션 우려를 감안하면 향후 금리 인상이 가능한 여건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날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결정문(통방문)에서 "코로나19 관련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으나 국내경제가 양호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물가가 상당기간 목표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앞으로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적절히 조정해 나갈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완화 정도의 추가 조정 시기는 코로나19의 전개 상황, 금융불균형 누적 위험, 기준금리 인상의 파급효과,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 성장·물가의 흐름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판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금통위는 8년 재임하고 올해 3월로 임기가 마무리되는 이주열닫기이주열기사 모아보기 한은 총재의 '마지막' 금통위이기도 했다.
이주열 총재는 2월 금통위 뒤 기자간담회에서 소회를 묻는 질문에 "금리정책은 무딘 칼이라든가 항공모함에 비교하기도 한다"고 언급했다.
이주열 총재는 "우리가 내다보는 게 이대로 될 지, 일종의 두려움"이라며 "금리라고 하는 것은 경제의 모든 부문, 경제주체에게 무차별적으로 영향을 끼치니 그렇다보면 기대효과도 있지만, 우리가 치러야 할 대가도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주열 총재는 "특히 통화정책 결정에서 방향을 틀 데는 숙고에 숙고를 할 수 밖에 없는데, 인상, 인하뿐 아니라, 동결도 어느 회 하나 쉽게쉽게 결정할 수 없다"며 "통화정책 평가는 조금 시간이 지나야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 한은 기준금리 동결로 미국 연준(Fed)의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0.00~0.25%)와 격차는 1~1.25%p로 유지됐다.
한국은행은 이날 2022년 2월 수정 경제전망치도 발표했다.
한은은 2022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이번에 3.1%로 대폭 올려잡았다. 이는 직전인 2021년 11월 발표한 전망치(2.0%)보다 1.1%포인트(p)나 높은 수치다.
한은은 내년인 2023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도 직전 1.7%에서 이번에 2.0%로 상향 조정했다.
경제성장률인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는 올해 2022년 3.0%, 내년인 2023년 2.5%로 직전 전망치를 유지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