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중앙회가 오는 20일 정기 이사회를 개최해 회추위를 구성할 예정이다. 회추위는 현직 저축은행 대표 4명과 전문이사 2명, 중앙회장 1명 등을 포함한 총 7명으로 구성된다.
정기 총회에서 79개 회원사의 1사 1표 방식으로 진행돼 3분의 2 득표를 얻은 후보자가 중앙회장으로 최종 선임된다. 3분의 2 이상의 찬성표를 받지 못한 경우 다수득표자 2인 중 재선거를 실시해 과반 찬성자가 최종 선임된다.
정관에 따라 다음달 3일 회장 후보자 모집공고가 중앙회 홈페이지에 게시되며 7일 임시총회 개최 소집통지가 이뤄진다. 이어 다음달 10일 후보자 등록을 마감 후 회추위에서 지원자를 대상으로 심사를 거쳐 15일까지 최종 후보자를 선정하게 된다.
저축은행중앙회는 다음달 17일 임시총회를 개최해 차기 저축은행중앙회장을 선출할 예정이다. 차기 회장 선출이 다음달 중순으로 넘어가면서 박재식 회장의 임기도 차기 회장 선출까지 유임될 예정이다.
회추위 구성을 앞두고 서울시지부장을 역임하고 있는 오화경 하나저축은행 대표이사가 유일하게 선거 출마 의사를 밝혔으며, 이해선 전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장도 출마가 유력한 상황이다. 또한 정완규 전 한국증권금융 사장, 홍영만 전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사장 등 주요 관료 출신 인사도 후보로 언급되고 있다.
오화경 대표의 공식 출마로 제18대 중앙회장 선거에 이어 제19대 중앙회장 선거도 민·관 경쟁 구도가 형성되고 있으며, 첫 업계 출신 중앙회장이 탄생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올해 저축은행 업권은 가계대출 총량규제를 강화로 자산성장세가 둔화되고,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예대마진이 축소돼 수익성이 하락하는 등 비우호적인 영업환경이 예상되고 있다. 또한 지난 2011년 저축은행 부실사태 이후 타 업권 대비 강도 높은 규제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 규제 완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저축은행 업계를 대변하는 목소리를 필요한 가운데 여전히 대관업무도 중요한 만큼, 이번 중앙회장 선거도 금융당국과의 소통을 기대할 수 있는 관료 출신과 업계 입장을 대변할 수 있는 민간 출신 간 민·관 경쟁 구도로 흘러갈 전망이다.
김경찬 기자 kkch@fntimes.com
[관련기사]
- 차기 저축은행중앙회장 선거 ‘민·관’ 경쟁 구도 형성…변화의 목소리 커져
- 박재식 저축은행중앙회장 임기 한달…‘官 출신’ 이해선·정완규·홍영만 하마평
- 박재식 저축은행중앙회장, 임기 만료 앞두고 ESG·디지털전환 결실 맺나
- [오화경 하나저축은행 대표이사] “타업권 대비 엄격한 규제 여전…업권 전문가 나서야할 때”
- 서민 중심 포용금융 실천하는 오화경 대표
- [2022 금융-2금융] 저축은행, 올해도 ‘디지털’ 최우선 전략…디지털 뱅크 전환 속도
- 좁혀지는 SBI·OK저축銀 격차…치열해지는 2022년 저축은행 1위 경쟁
- [2022 머니무브 대격돌] 저축은행, 고금리 특판으로 유동자금 손짓
- [2021 디지털혁신 주도 CEO] 김대웅 웰컴저축은행 대표, ‘웰뱅’ 생활금융플랫폼 도약 구현
- [2022 금융권 CEO 인사지형] 저축은행 지주계 ‘영업통’·전업사 ‘전략통’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