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원닫기

김 연구원은 “이는 내년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을 위한 선제 서버투자”라며, “4분기 7~8주로 현재 서버 업체들이 보유한 D램 재고감소 영향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올해 4분기 현재 반도체 가격 하락 사이클 진입에도 불구하고 북미 4대 데이터센터 업체들은 기존 예상과 달리 메모리 반도체 주문량을 꾸준히 늘리고 있다. 또한 증가된 구매 패턴을 지속해 유지하고 있다.
김 연구원은 “이는 북미 데이터센터 업체들이 내년 메모리 반도체 수요 전망을 긍정적으로 본다고 재해석할 수 있다”라며, “삼성전자를 비롯한 메모리 반도체 공급업체들의 재고가 정상 수준을 하회하고 있는 점이 반도체 재고 축적을 앞당기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라 말했다.
이는 비메모리 반도체를 비롯한 주요 부품의 공급망 차질이 일부 해소되기 시작해 부품 공급 부족 완화에 따른 내년 세트 수요의 예측 가시성이 확대됐기 때문이다. 또한 고용량 기업향 PC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김 연구원은 “특히 7월 이후 첫 반등에 성공한 D램 현물가격은 역사적으로 고정가격의 선행지표로 작용했기 때문에 내년 상반기까지 D램 고정가격을 하락세로 가정해도 가격 하락 폭 관점에서 D램 가격은 내년 1분기 바닥 형성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심예린 기자 yr0403@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