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이용자 수(MAU‧Monthly Active User)는 직전 2분기보다 67만명 증가해 1470만명을 넘어섰다.
전체 고객은 지난해 말 1544만명에서 올해 9월 말 기준 1740만명으로 늘었다. 경제활동인구의 60%가 카카오뱅크를 이용하고 있는 셈이다.
연령별로 보면 만 14~18세 대상 서비스인 카카오뱅크 미니의 경우 9월 말 기준 고객수가 100만명에 육박했다. 대상 연령 인구 40% 이상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만큼 서비스가 성장한 것이다.
플랫폼 기반의 고객 수 확보로 영업이익은 확대됐다. 여신(대출) 규모가 성장하며 이자 이익이 불었고, 플랫폼 및 수수료 사업 부문도 견조한 성장을 이끌었다.
영업이익 확대는 여신 규모 성장에 따른 이자 부분 이익 확대 영향과 플랫폼 및 수수료 비즈니스 부분이 견조한 성장을 이끌었다.
수신(예금) 잔액은 전년말 대비 5조5252억원 불어난 29조645억원으로 집계됐다. 저 원가성 예금이 57%를 차지했다. 여신 잔액은 25조38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8조7304억원)과 비교했을 때 33.7%(6조3081억원) 늘었다. 고신용대출 잔액 감소에도 중‧저신용 대출과 전월세 보증금 대출이 전체 대출 잔액 증가를 주도했다.
플랫폼 부문에서의 지속 성장도 돋보였다. 증권사 주식계좌개설 신청, 신용카드 모집 대행 서비스, 연계대출, 광고, 카카오뱅크 미니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한 플랫폼 수익 비중은 전체 영업수익 중 10.5%를 차지했다.
증권사 주식계좌개설 서비스를 통한 신규 계좌는 491만좌로, 전년말 대비 191만좌 늘어났다. 올해 2분기 3조원을 돌파한 연계대출 서비스의 누적 취급액은 3분기말 기준 3조6650억원으로 나타났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내년에는 카카오뱅크만의 모바일 완결성을 바탕으로 주택담보대출 시장에 진출해 새로운 혁신을 선보일 예정”이라며 “플랫폼 사업 확장과 더불어 중‧저신용 고객 대출에도 박차를 가하는 등 카카오뱅크만의 성장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임지윤 기자 dlawldbs20@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