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석유로부터 만들어진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해 다시 석유로 뽑아 내는 세계 최대 ‘도시유전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겠다는 SK지오센트릭 그린트랜스포메이션(Green Transformation) 전략의 의미 있는 첫 걸음이다. 이를 통해 국내 폐플라스틱 이슈를 해결하는데도 크게 기여하게 된다.
지금까지 열분해유는 염소 등 불순물로 인해 공정 투입 시 대기 오염 물질 배출, 설비 부식 등에 대한 우려로 석유화학 제품의 원료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SK지오센트릭은 전통 화학사업 역량에 기반, 열분해유 속 불순물을 제거하는 후처리 기술을 개발∙적용함으로써 열분해유를 친환경 원료유로 탈바꿈시켰다.
이번에 최초 도입한 열분해유는 SK지오센트릭과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이 지난 2019년부터 후처리 관련 공동 연구를 진행해 온 국내 중소 열분해 업체 제주클린에너지생산 제품이다. SK지오센트릭은 친환경을 위한 국내 폐플라스틱 열분해 중소기업과의 상생∙협업 관점에서 이들이 생산한 열분해유를 도입해 품질을 개선, 정유∙석유화학 공정 원료로 투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SK지오센트릭은 폐플라스틱 이슈의 심각성을 감안해 자체적으로도 열분해를 위한 핵심 기술 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 글로벌 기술 파트너링을 통해 SK 자체 불순물 제거 공정을 결합시킨 대형 열분해 공장 건설도 추진하는 투트랙(Two-track)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SK지오센트릭은 이미 올초 美 열분해 전문업체 브라이트마크社와 사업 협력 MOU를 체결하고, 울산에 대형 열분해 공장 등 화학적 재활용 방식의 도시유전을 건설하겠다고 지난 7월 발표한 바 있다. 글로벌 기술과 자체 기술이 결합된 열분해유 공장은 2024년 상업 가동 예정으로, 연간 20만톤 규모의 폐플라스틱 처리가 가능하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