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직전 기준금리(0.5%)보다 0.25%p(포인트)(=25bp) 높인 것이다.
금통위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기준금리를 2020년 3월에 0.5%p, 5월에 0.25%p씩 잇따라 내려 사상 최저 금리 동결 기조를 이어왔으며, 1년 3개월 만에 금리 정상화에 시동을 걸었다.
한은이 금리를 올린 것은 2018년 11월 이후 33개월 만에 처음이다.
금통위를 앞두고 시장에서는 동결과 인상 전망이 팽팽히 맞섰다.
금융투자협회가 지난 8월 11~17일 채권업계 종사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에서 응답자 100명 중 67명은 8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했다. 다만 7월 금통위 전 금리 동결을 전망한 결과(89명)보다 낮아진 수치였다. 반면 기준금리 인상을 예상한 전문가는 33명으로 직전 조사 결과(11명)보다 높아진 바 있다.
코로나19 델타 변이 확산으로 기준금리 동결 우세 전망에 무게가 실리기도 했지만, 금통위가 가계부채 누적 등 금융불균형 교정을 위해 전격적인 8월 금리 인상을 단행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그동안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로 경기 회복을 지원해왔지만 누적된 가계부채 우려가 높은 상황이다.


다만 코로나 4차 유행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되면서 소비 회복이 더딘 상황인 가운데 이번 금리인상이 누적된 가계대출과 취약층에 이자 부담 직격탄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불가피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번 금통위는 고승범닫기

이번 한은 기준금리 인상으로 미국 연준(Fed)의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0.00~0.25%)와 금리 격차는 0.5~0.75%로 확대됐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