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기신도시 사전청약에서 두 자릿수 경쟁률이 나타나는 등 수요자들의 호응이 이어지자 ‘사전청약’ 물량을 늘려 시장 안정을 꾀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홍 부총리는 사전청약 확대와 관련해 "3기 신도시 등 공공택지 민간분양분 및 2·4대책 도심개발사업 후보지를 대상으로 지방자치단체와 사업자 협의 등을 거치겠다"고 전하는 한편, "참여 민간 건설사에 대해서는 인센티브 부여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사전청약 제도는 공공택지 등에서 공급되는 공공분양주택의 공급시기를 조기화 하는 제도로, 공급대책의 효과를 앞당기고 청약대기 수요 해소를 목표로 지난달부터 본격 시행됐다.
그간 사전청약 제도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기관이 진행하는 분양에서만 이뤄졌다. 그러나 앞으로는 공공택지 민영주택을 비롯한 2·4대책의 도심개발 사업지에서도 이 같은 방식이 검토될 전망이다.
홍 부총리는 "수요자가 선호하는 민간 분양아파트와 도심 핵심입지에 주인을 조기에 찾아주는 사전청약을 대폭 실시해 시장수요 진정과 주택시장 안정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발언했다.
이와 함께 홍 부총리는 "2·4대책 상 신규택지 공급계획 중 잔여 미정부지인 13만호 대상부지 선정에 대해서는 추가 물량을 확보해 그 이상이 공급되도록 다음주 초 국토부에서 추가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주택 공급물량의 충분한 확대가 지금의 부동산시장 안정을 위한 첩경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그 누구도 다른 의견이 없으며 정부도 그 무엇보다 주택공급 확대에 최우선적으로 주력해 왔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홍 부총리는 더불어민주당이 발표한 ‘누구나집’ 프로젝트에 대해서도 "8월말까지 누구나집 시범사업 공공택지 공모지침을 조속히 확정한다"며 "9월 민간사업자 공모, 11월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등 사업을 조기에 가시화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누구나집 프로젝트는 사전에 확정된 가격으로 무주택 임차인에게 우선분양을 약정하는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으로 분양 전환시 시세차익을 사업자-임차인이 공유하는 사업을 말한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