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업계에 따르면 GS리테일은 요기요 인수 관련 사모펀드 컨소시엄에 전략적 투자자로 참여했다고 알려졌다. 금융감독원은 16일 오전 요기요 인수 추진과 관련해 조회공시를 요구했다.
요기요 인수가 또 다시 불발된 상황이다.
딜리버리히어로(DH)는 지난 12일 공정거래위원회에 요기요 매각과 관련, 매각 시한 연장 신청서를 제출했다.
현재 요기요 매각가는 처음 매물로 나왔을 때보다 떨어진 5000억원~7000억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12월 요기요가 처음 인수합병(M&A)시장에 나왔을 때 업계는 기업 가치를 약 2조4000억원으로 평가했다. 매각이 지연되고 신세계∙롯데 등 유통 대기업들이 줄줄이 요기요 인수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매각가는 약 2조 가까이 떨어졌다. DH가 더 이상 매각을 미룰 수 없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마땅한 투자자가 나타나지 않아 또다시 매각 기한이 밀린 것이다.
GS리테일은 지난 6월 '우딜(우리동네 딜리버리)'를 론칭하고 퀵커머스 플랫폼 구축을 본격화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앱 론칭 10일만에 누적 주문건수 10만건을 돌파하며 고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GS리테일이 '요기요'를 인수한다면 단숨에 배달 플랫폼 시장 점유율 2위로 올라선다. 그러나 GS리테일이 '요기요' 인수를 고민하는 이유는 '쿠팡이츠의 빠른 추격'과 상대적으로 낙후된 요기요의 'IT∙물류시스템'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오픈서베이의 '배달 서비스 트렌드 리포트 2021'에 따르면 '쿠팡이츠'의 인지도가 작년 23.3%에서 49.1% 오른 72.4%를 기록했다. 이에 반해 '요기요' 인지도는 90%로 지난해와 똑같다.
나선혜 기자 hisunny20@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