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금융권에 따르면 JB금융지주는 지난 14일 이사회 산하에 ESG 위원회를 신설했다. ESG 위원회는 ESG 전략과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 현황과 결과를 보고받는 그룹 ESG 경영의 최고 의사결정기구다. JB금융 관계자는 “이번 ESG 위원회 신설을 계기로 계열사들과 함께 ESG 관점에서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ESG는 전 금융권의 최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금융권에서 ESG를 주목하는 건 기후 변화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으로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커지면서 비재무적 가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코로나19로 비즈니스 리스크와 전략의 중심이자 투자자 및 일반 대중과의 신뢰를 구축하는 ESG 원칙과 그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며 “ESG 등 지속가능성 이슈는 핵심 비즈니스 조정과 기업전략의 문제이기 때문에 기업 지속가능성 전략을 이사회 차원에서 주관·감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지방금융지주들은 탈석탄 금융에도 나서고 있다. DGB금융은 지난달 말 지방금융 최초로 전 계열사가 참여하는 탈석탄 금융을 선언하고 국내외 석탄발전소 건설 신규 PF와 관련 채권 인수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 저탄소·친환경 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대출·투자 등 지속가능 투자는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전북은행도 지난 2월 탈석탄 금융을 선언해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관련 회사의 PF와 신규대출을 중단하기로 했다. 광주은행의 경우 지난해 말 광주시와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PF와 관련 채권 인수를 중단하는 내용의 ‘탈석탄·그린뉴딜 협약’을 체결했다.
지방금융지주들은 ESG 채권 발행 행렬에도 동참하고 있다. DGB금융은 지난 2월 지방금융지주 최초로 1000억원 규모의 지속가능채권을 발행했다. 이에 더해 향후 ESG 채권 규모를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부산은행은 지난해 11월 지방은행 중 가장 먼저 1000억원 규모의 지속가능채권을 발행했다. 지난달에는 전북은행과 대구은행이 각각 700억원, 1000억원 규모로 지속가능채권을 찍어냈고 이달 12일에는 경남은행이 1000억원 규모의 사회적채권을 발행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