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유선희 기자] 서울 여의도 빌딩 숲 한가운데에 들어선 수도권 최대 백화점 '더현대 서울'이 24일 모습을 드러냈다. 팍팍한 도심 속 자연 채광이 쏟아지는 백화점은 '쉼'과 '럭셔리'를 주요 전략으로 내세우고 있다. 25일까지 가오픈 기간이고, 주말을 앞둔 26일에 정식으로 문을 연다.
더현대 서울은 현대백화점의 16번째 매장이다. 현대백화점은 이 매장을 ‘자연친화형 미래 백화점’이라고 설명한다. 백화점을 실제로 방문해 1층 한가운데서 위를 바라보니 높이 12m 인공폭포에서 물이 시원하게 쏟아지고 있었다. 유리로 마감한 천장에서는 자연채광이 내려왔다. 5층에는 흙을 깔고 살아있는 나무들을 심어 3300㎡(약 1000평) 규모의 실내 정원을 구성했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채광을 위해 천장부터 1층까지 건물 전체를 오픈시키는 건축 기법을 도입했다"고 귀띔했다.
백화점이지만 쇼핑 공간은 전체 면적 8만9100㎡(2만 7000평) 중 51%밖에 안 된다. 나머지는 실내 조경과 고객들이 앉아서 쉴 수 있는 공간으로 채웠다. 설명을 듣고 보니 점포보다 널찍한 복도가 눈에 들어왔다. 고객들이 걷게 되는 복도 너비는 '유모차 8대'다. 백화점들은 '유모차가 한꺼번에 몇 대 움직일 수 있는지'로 고객 동선 공간을 가늠한다. 보통 3~4대 정도면 넉넉하다고 본다.
이미지 확대보기더현대 서울 지하 2층 신발 리셀 전문매장 BGZT랩에서 고객들이 전시된 신발을 둘러보고 있다. / 사진 = 유선희 기자
백화점 매출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명품 매장은 버버리, 프라다, 부쉐론, 펜디 등이 들어섰다. 구찌와 티파니앤코는 아직 매장 오픈 전이었다. '3대 명품'으로 불리는 에르메스, 샤넬, 루이 비통 매장은 없었다. 백화점 관계자는 "루이 비통 등 유명 명품 브랜드와 입점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여의도역에서 IFC몰, 더현대 서울을 잇는 지하 연결통로와 맞닿은 지하 2층은 MZ세대를 겨냥해 꾸며졌다. H&M의 SPA 브랜드인 '아르켓'의 아시아 첫번째 매장과 스타벅스 리저브, 신발 리셀 전문매장 'BGZT랩', 명품 시계 리셀숍 ‘용정콜렉션’이 들어섰다. 출입구 바로 옆 컨버스 매장은 오픈부터 대기 줄이 길었다. 요즘 '백화점 큰 손'으로 자리매김하는 2030 VIP를 위한 라운지도 한 켠에 마련할 계획이다.
F&B에도 힘을 줬다. 지하 1층에는 축구장 2개 규모의 식품관을 조성해 '에그슬럿', '긴자 바이린' '청기와타운', '통인스윗' 등 유명 맛집들이 들어섰다. 5층에는 2019년 커피 애호가들 사이에서 돌풍을 일으킨 미국 커피 브랜드 ‘블루보틀 여의도점'이 있다. 6층과 연결된 그린돔 위층에는 이탈리아 그로서란트 ‘이탈리(EATALY)’ 국내 2호점이 입점했다.
더현대 서울의 연 매출 목표는 개점 후 1년간 6300억원, 2022년에는 7000억원 달성이다. 김형닫기김형기사 모아보기종 현대백화점 사장은 "더현대 서울을 대한민국 서울의 대표 라이프스타일 랜드마크로 키울 방침"이라고 말했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