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ID 기반 모바일사원증은 사원증 발급과 출입 등의 이력을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인증에 필요한 개인 정보를 사용자 스마트폰의 전자지갑에 보관하는 구조다.
생체인증 등 본인인증을 통해 발급할 수 있어 보안성이 강화되고, 실물 신분증 카드를 대신하면서 편리성도 높아졌다. 또한 사용 이력이 위·변조가 불가능한 블록체인에 저장돼 접근통제 기록도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다.
도만섭 DGB대구은행 ICT본부장은 “DID 기반 모바일 사원증은 DGB혁신센터 근무 직원들을 대상으로 시범 발급해 DGB혁신센터의 출입에 사용되며, 올해 본 사업을 통해 DGB대구은행 전 직원을 대상으로 발급과 제1, 2본점 출입시스템 연동 가능토록 적용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또한 도만섭 본부장은 “사용자는 DGB대구은행 그룹웨어에서 모바일사원증을 발급받고 활용할 수 있으며, 추후 모바일 사원증을 그룹웨어 연동 로그인 등 다양한 업무에 확대 적용을 검토 중에 있다”고 밝혔다.
임성훈닫기

이어 “미래 금융에서 디지털 IT가 금융 경쟁력의 아주 중요한 요소가 된 만큼 금번 구축된 블록체인 인프라를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발굴하고 개발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김경찬 기자 kkch@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