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모빌리티의 군집주행 운영서비스 플랫폼은 이날 서여주IC~여주JCT 구간(8km) 공용 도로에서 진행된 시연을 통해 군집 신청, 길 안내, 군집 합류, 대열 유지, 대열에 일반 차량 진입 시 간격 자동 조정, 군집 이탈 등 군집주행 전 과정에 이르는 운영 기술을 성공적으로 선보였다.
한국도로공사는 군집주행 기술 확보를 위해 2018년부터 국토교통부의 지원을 받아 ‘V2X(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기반 화물차 군집주행 운영기술 개발’ 국책 과제를 주관해 왔으며, 카카오모빌리티는 군집주행 관련 기술들이 구동될 수 있는 ‘운영서비스 플랫폼’ 개발 및 기술 상용화를 위한 ‘물류 운송 서비스 모델 구축’을 담당했다.
특히, 카카오모빌리티가 담당한 운영서비스 플랫폼 구축은 군집주행 기술을 실질적으로 구현하고 실행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로 꼽힌다. 개별 차량이 뛰어난 자율주행 기술을 갖추고 있다고 하더라도 각 차량을 연결해 대열 운영을 관제하는 플랫폼이 없다면 군집주행 실현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번 과제를 위해 군집 주행 차량 운전자에게 특화된 길 안내 내비게이션, 위급 상황 시 경고 메시지 전송 알람보드, 주행 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랙션, 선두 차량 관점의 도로 영상을 전송하는 씨스루(See-through) 등의 기능을 담은 태블릿용 모바일 앱 플랫폼을 별도로 개발했다.
군집주행 운영서비스 플랫폼은 군집 차량의 이동 경로를 파악해 군집 대열에 합류할 차량을 연결해주는 ‘매칭 알고리즘’, 실시간 교통 상황을 예측해 차량 합류, 이탈 지점을 제시하며 경로를 안내하는 ‘라우팅 알고리즘’, 플랫폼에 연결된 차량들의 위치와 군집 현황, 차량 상태 등을 관리하는 ‘관제 모듈’로 구성한다.택시 인공지능 배차, 내비게이션 길 안내 등 카카오 T에 적용된 모빌리티 기술도 대거 활용됐다.
이번 군집주행 운영서비스 플랫폼에 사용된 기술 중 실시간 교통 상황에 맞춰 최적의 군집 합류지점을 찾아 주는 ‘다이내믹 랠리 포인트 결정 기술'과 ‘AI 기반 군집 매칭 기술' 등 4건의 자율주행 플랫폼 기술은 특허 출원도 마친 상태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