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훈 연구원은 "디플레이션은 경기불황이 디레버리징을 유발하고, 은행시스템 부실화로 인해 통화공급량(광의통화)이 위축될 때 본격화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 연구원은 그러나 "지금은 특정 주체의 디레버리징을 요구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면서 디플레 환경과 큰 차이가 난다고 밝혔다.
그는 "도덕적 해이 논란에서 자유롭기에 각국 중앙은행이 주저없이 본원통화를 확대시키고 있다"면서 "은행 시스템 리스크가 없다는 점에서 이들 중앙은행의 대차대조표 확대(=본원통화 증가)가 광의통화의 팽창으로 연결 중이며, 그 기저에는 예금의 폭발적인 증가세가 자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로존(M3)과 일본(M3+양도성 예금증서) 광의통화는 전년대비 8.4%와 3.0% 증가(2020년 4월 기준)했다고 소개했다. 이는 각각 2009년과 2017년 이후 최고치다.
중국의 5월 M2 증가율은 11.1%(2016년 말 이후 최고치)이며, 총사회융자 증가율 역시 기업신용을 중심으로 11.7%까지 올라 왔다.
시장 기대치를 밑돌면서 현재가 인플레이션 국면이 맞는지에 대한 투자자들의 문의가 많아지고 있지만, 디플레 환경과는 거리가 멀다고 결론내렸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