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 ▲20일 오후 명동 은행회관 2층에서 열린 '2020 한국금융미래포럼 : 데이터 금융혁신 길을 찾다'에서 김진경 빅밸류 대표이사가 패널토론을 하고 있다./ 사진=한국금융신문 [한국금융신문 홍승빈 기자] “데이터 독점화가 이뤄지지 않게끔 기존 대형 금융사와 빅테크 기업, 그리고 새롭게 진입하는 핀테크 기업 사이의 데이터 접근성에 균형이 맞춰지면 좋겠습니다.”
김진경 빅밸류 대표이사는 20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0 한국금융미래포럼' 패널토론에서 “핀테크 업체의 대표로서 정부, 규제·감독 당국에게 말하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이같이 대답했다.
김 대표는 “스타트업 기업의 입장에서 마이데이터가 시장에 많은 기회를 주겠지만, 한편으로는 시장이 열리는 만큼 기존의 대형 금융회사나 빅테크와 같은 기업들이 데이터를 독점할 수도 있는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만약 마이데이터가 잘못 운영될 경우 대형 금융기관이나 핀테크 기업들에만 다량의 데이터가 축적되고, 나머지 소형·스타트업 기업들은 단순히 시장 데이터를 수집하고 제공하는 데 그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규모가 작은 기업들도 근본적으로 금융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어야 다양한 서비스들이 나올 수 있는데, 만약 데이터 접근성 면에서 차별이 있다면 이들이 실질적으로 할 수 있는 일이 없다는 설명이다.
김 대표는 마지막으로 “데이터 독점화가 이뤄지지 않게끔 대형 금융사와 빅테크 기업, 그리고 새롭게 진입하는 핀테크 기업 사이의 정보 균형성을 맞추기 위해 관련 당국이 디테일한 규정에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홍승빈 기자 hsbrobin@fntimes.com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