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직방(대표 안성우)이 입주 1년 미만 아파트(이하 신축아파트)를 대상으로 분양가격과 매매 거래가격을 비교 분석한 결과 2020년 1분기 분양가격에 비해 매매거래가격은 6,903만원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분양가 대비 매매거래가격 상승액은 2019년 3분기 7,629만원을 기록한 이후 상승폭이 줄어들면서 2019년 4분기 7,518만원, 2020년 1분기 6,903만원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의 2020년 1분기 신축아파트 분양가 대비 매매거래가격은 1억1,160만원 상승했다. 2019년 4분기 1억3,749만원에 비해 상승폭이 2,589만원 줄어들었다. 2020년 1분기 전분기대비 상승액은 줄었으나 분양가 대비 실거래가는 2019년 4분기 22.81%과 동일한 22.81%로 나타났다. 인천∙경기는 상승액이 늘어났으나 서울의 상승액이 줄어든 것이 원인이 되었다.
지방의 신축아파트 분양가 대비 매매거래가격은 1년간 상승폭이 계속 커지고 있다. 분양가에 비해 실거래가는 2020년 1분기 3,912만원 상승해 2019년 4분기 상승폭이 353만원 더 커졌다. 분양가 대비 실거래가 상승률도 2020년 1분기 12.36%를 기록해 2019년 4분기 10.74%에 이어 두 분기 연속 10%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지방은 대구와 세종 지역에서 분양가 대비 매매거래가격의 강세가 이어지면서 상승폭 확대가 이어지고 있다.
지방은 대구와 세종의 신축아파트 가격 강세가 이어졌다. 2020년 1분기 신축아파트의 분양가 대비 매매거래가격은 대구 2억173만원, 세종 2억637만원 상승해 2억원을 돌파했다. 대전도 1억 85만원 상승해 신축아파트의 가격 강세가 이어지고 있다.
2019년 4분기 대비 2020년 1분기 상승액이 줄어든 지역은 광주(-5,439만원), 충남(-416만원), 제주(-134만원)으로 조사됐다. 특히 충남은 2020년 1분기 분양가 대비 매매거래가격이 391만원 하락해 유일한 하락지역으로 나타났다.
직방 측은 “정부의 정책과 함께 코로나19로 인한 실물경제의 침체가 이어지고, 전세계적인 코로나19사태 종식 시점이 불확실한 상황 때문에 아파트 매매시장의 불확실성도 커졌다”며, “아파트 시장을 둘러싼 외부 환경이 비우호적인 상황으로 인해 수요위축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청약시장으로 꾸준히 유입되는 수요는 가격 급락을 막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