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정동익 KB증권 연구원은 일본 정부가 지난 2일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제외함에 따라 공작기계 등이 일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조선 및 해양플랜트 부문은 영향이 미미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화이트리스트 제외로 가장 크게 달라지는 부분은 ICP(Internal Compliance Program) 기업이 아닌 업체로부터 전략물자를 수입해야 하는 경우”라고 설명했다.
조선 및 해양플랜트 부문은 영향 미미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해양플랜트의 경우 상선에 비해 외산 자재의 비중이 높지만 미국 및 유럽산 기자재 비중이 높고, 유가하락 등으로 산업규모도 위축되어 있어 일본이 수출허가를 안 해주는 최악의 경우에도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는 “다만 현재 진행 중인 현대중공업그룹의 대우조선해양 인수관련 기업결합심사가 악화된 한일감정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에 대해서는 주의가 요망된다”고 덧붙였다.
정 연구원은 “지난해 우리나라의 대일 기계류수출은 77억6000만 달러, 수입은 222억77억 달러로 대표적인 무역수지 불균형산업”이라며 “특히 일본 Fanuc사가 과점하고 있는 공작기계 컴퓨터수치제어(CNC) 세트의 경우 수출이 불허될 경우 공작기계 생산자체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화이트리스트 제외가 막연한 수출금지를 의미하지는 않다고 강조했다.
정 연구원은 “지난 2017년 공작기계의 경우 일본의 최대 수출국은 비화이트리스트 국가인 중국 기준30.1%)이었다”며 “ 전체 수출액의 약 절반이 화이트리스트에 없는 국가들로 수출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 일본 Fanuc사 입장에서도 대한민국은 매우 중요한 고객이어서 전면적인 판매중단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을 것”이라며 “일본이 이번 조치를 고의로 악용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지만 바뀌는 제도와 절차를 숙지하고 미리 대응한다면 국내기업들의 피해는 최소화될 수 있을 것이다.
홍승빈 기자 hsbrobin@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