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곽호룡 기자] LG가 '구미형 일자리' 사업에 5000억원을 투자한다.
LG화학이 이 금액을 출자해 구미 국가산업5단지 약 6만여㎡에 전기차 배터리 핵심소재인 양극재 공장을 짓는다. 총 5000억원을 투자해 양극재 연간 6만톤 생산이 가능한 공장으로, 2024년 완공이 목표다. 고용창출효과는 약 1000명으로 예상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25일 오후 구미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구미형 일자리 투자협약식에서 "LG화학은 지역과 상생하겠다는 각오로 과감히 투자를 결정했다"면서 "지자체와 정부도 적극적인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신학철닫기
신학철기사 모아보기 LG화학 부회장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등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겠다"며 "핵심소재 내재화를 통한 국산화율 제고에도 박차를 가해 배터리 사업경쟁력을 높여나가겠다"고 밝혔다.
구미형 일자리는 정부가 주도하는 '상생형 일자리' 사업의 하나다. 현대차가 2대주주로 참여한 '광주형 일자리'와 다르게 LG가 100% 투자액을 내는 투자촉진형 모델이다. 경북·구미 등 자자체는 부지제공·복지 프로그램 등 공장 운영을 돕는다.
신공장은 내년 착공을 시작해 2024년 가동을 목표로 한다. 생산능력은 연간 6만톤 규모로, 전기차 약 50만대분의 배터리를 만들 수 있다.
양극재는 전기차 배터리의 4대 핵심소재다. 특히 배터리 원료값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다. LG화학은 양극재 내재화율을 35%까지 끌어올리다는 계획에 따라 정부사업에 참여하게 됐다.
LG화학은 구미 신공장 외에도 기존 2만5000톤 규모의 청주공장 생산 능력도 2배 이상으로 증설할 계획이다.
한편 LG화학은 2024년까지 배터리 사업에서 매출 31조6000억원을 달성해 핵심사업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에만 10조원의 금액을 투자할 방침이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