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식적인 사과와 함게 의류건조기 콘덴서 10년 무상보증 서비스를 보장한다고 공표한 것이다. 이는 기존 무상 보증 AS 기한이 1년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10배 가량 기간을 늘린 이번 결정은 기업 측에서 더 이상의 논란을 막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으로 해석된다.
사용자가 먼지를 직접 제거하지 않아도 되어 이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킨다던 시스템이 도리어 먼지를 제대로 씻어내지 못하면서 분사되는 응축수와 콘덴서에 남아있던 먼지가 결합하여 악취를 유발하고 건조 성능을 떨어뜨린다는 비판과 불만이 등장하면서 거세진 바 있다.
이에 먼지가 상당 부분 쌓인 내부 콘덴서 인증 사진 등이 커뮤니티에 올라오면서 이 논란은 빠르게 확산되었다.
LG전자 측은 옷감의 습기를 빨아들인 고온 다습한 공기가 차가운 콘덴서를 통과하면 습기가 물로 변화되면서 먼지와 함께 배출된다며 이 과정에서 일부 먼지는 콘덴스를 통과하지 못하고 남기도 하고 이같은 일은 콘덴서 세척 방식 또는 제조사와 관계 없이 동일하게 벌어지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어떤 방식이건 건조 효율을 유지하기 위한 수준으로 먼지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또한, 수동세척이 아닌 자동세척을 선택한 것은 주기적으로 콘덴서를 직접 세척, 청소해야 하는 불편함을 덜기 위한 것이였다며 콘덴서를 직접 세척하는 수동세척 방식을 선택할 경우 콘덴서의 형태가 날카로워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자동세척을 선택했다고 이유를 추가 설명했다.

오승혁 기자 osh0407@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