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성장정체와 장기화되고 있는 가계불황, 그리고 오는 2022년 도입될 새 국제회계기준에 이르기까지. 보험업계는 유래없는 최악의 겨울을 맞이하고 있다. 다사다난했던 2019년이 벌써 절반이나 지난 시점에서, 상반기 보험업계를 거쳐갔던 이슈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 되짚어본다. 편집자 주]
그간 보험업계는 보험 영업에서 입은 손해를 투자이익으로 메우는 방식으로 이윤을 만들어왔다. 그러나 올해는 미중 무역분쟁을 비롯한 세계 경제 불황까지 겹치며 이마저도 여의치 않은 모습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저출산과 고령화 등으로 보험업이 포화상태에 접어들면서 보험 영업은 갈수록 위축된 데다, 가계 경제까지 장기 불황을 면치 못하며 그나마 있던 보험까지 해약하는 가구도 늘어나고 있다.
올해 1분기 손해보험사들의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8.4%나 급감했다. 손보업계 ‘빅4’에 속하는 삼성화재가 –22.9% 현대해상이 –27.9%, DB손해보험이 –10.0%, KB손해보험이 –20.5%씩 감소하는 등 두 자릿수 역성장을 면치 못했다. 자동차보험에서 높은 손해율을 기록하며 영업손실이 커진 것이 직격탄이었다.
보험업계의 영업 부진은 급격한 인구절벽 현상으로 인해 보험의 수요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보험사들이 소비자들을 끌어 모으기 위해 과도한 보험료 인하 및 사업비 지출 경쟁을 벌인 것이 주된 원인으로 지목됐다.
특히 손해보험사들의 경우, 2017년 당시 손해율 안정과 다이렉트 채널 자동차보험의 약진으로 인해 영업 호황이 발생하며 각 보험사들이 앞다투어 보험료 인하 및 할인특약 출시 경쟁을 벌였던 바 있다. 그러나 점점 손해율이 높아지고, 육체노동자 노동연한 확대 등 사회적 요인이 겹치면서 당시의 과열 경쟁이 부메랑으로 돌아왔다.
이 같은 상황에서 일부 보험사들은 희망퇴직을 실시하거나 지점 통폐합을 벌이는 등 고육지책을 벌이고 있다. 다이렉트 채널 등 비대면 영업이 늘어난 여파로, 보험사들의 영업점포 수는 날로 줄어들고 있다. 생명보험사의 경우 지난 2013년 말 4402개였던 것이, 지난해 말 3488개까지 줄어들었다. 손해보험사 역시 2013년 말 3230개였던 것이 지난해 말 2993개로 줄었다.
대형 손보사 한 관계자는 “보험 영업으로는 어차피 손실을 볼 수밖에 없는 구조라 결국 투자이익이 잘 나와야 하는데, 경기 불황이 이어지면서 그마저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라며, “국제 회계기준 도입까지 앞둔 상황에서 당분간은 보험업이 역대 최악의 시기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