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최고운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2분기 항공 시장 환경이 1분기와 반대로 부정적이라고 내다봤다.
최 연구원은 2분기는 항공시장의 비수기라고 설명했다. 이에 “지방공항을 중심으로 공급을 늘려온 저비용항공사(LCC)에게는 탑승률과 운임 유지에 어려움이 커질 전망”이라며 “지난 4월부터 5월 현재까지 국적 LCC들의 국제선 여객수는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에 그쳤다”고 말했다.
반면 항공유 가격은 연초 대비 29% 상승했다.
최 연구원은 “유류비는 항공사 매출에서 25% 내외를 차지한다”며 “현재 수준의 유가가 이어진다고 가정한다면 대한항공과 제주항공의 올해 유류비는 각각 3조2000억원, 3900억원 수준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유가가 10% 상승함으로 인해 연간 이익의 1/3에 달하는 비용이 늘어나는 것이다.
원·달러 환율이 최근 한 달간 5% 상승한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최 연구원은 “유류비·정비비 등 외화로 지불하는 비용이 50% 이상이기 때문에 원화약세는 항공사 수익성을 낮춘다”며 “여행객의 비용부담이 커지는 만큼 해외여행 수요에도 부정적”이라고 내다봤다.
홍승빈 기자 hsbrobin@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