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 교수는 19일 서울 중구 페럼타워에서 열린 자동차 기술 관련 로드맵 발표회에서 이같이 진단했다.
이미지 확대보기배 교수가 현대 준중형차 아반떼(가솔린·디젤)와 아이오닉(HEV·EV)를 대상으로 친환경성, 경제성, 기술성 등을 종합한 '기술 적합성'을 분석한 결과, HEV(265점)-디젤(257점)-가솔린(250점)-EV(199점)-수소전기(197점) 순으로 나타났다.
전기차는 친환경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주행거리·가격 등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다.
배 교수는 "중국이 전기차 등 신에너지(친환경차) 자동차 보급을 확대하고 있는데, 이는 리튬·코발트 등 배터리 원료 가격이 다시 상승할 위험 요인도 있다"고 밝혔다. 또한 "전기차는 발전·생산 단계에서 나오는 공해 문제도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단 배 교수는 이는 현 상황을 분석한 결과이며, 기술개발로 인해 개선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미지 확대보기한편 이날 발표회에는 김민수 서울대 교수, 박영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이기형 교수 등 수소전기차·하이브리드·내연기관 등 동력기관별 전문가들이 나와 연구결과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