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금융권에 따르면, BNK금융 작년 순이익은 5021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4.6% 증가했으며 DGB금융은 3835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6.9%, JB금융(지배지분 기준)은 2431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31.4% 증가해 3사 모두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BNK금융은 "지역경기 부진에도 양호한 성과의 배경으로, 우량대출 중심의 자산성장으로 이자이익 증가는 크지 않았으나, 김지완닫기

김지완 BNK금융 회장은 취임 이후 증권사와 은행 간 복합점포 설립, WM강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했다.
DGB금융은 "명예퇴직, 충당금 적립 등 선제적 비용 처리에도 하이투자증권 인수로 인해 발생한 염가매수차익 1613억원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JB금융도 지속적인 수도권 진출, 글로벌 자회사 성장으로 최대 실적을 견인했다. 전북은행은 전년동기대비 54.5% 증가한 1005억원을, 광주은행은 13.5% 증가한 1533억원을 기록했다. JB금융 캄보디아 자회사 프놈펜상업은행은 전년동기대비 17% 증가한 148억원의 순이익을 시현했다. 광주은행 이익이 모두 JB금융에 반영한 점도 호재로 작용했다.
대구은행 작년 순이익은 2941억원 반면, 올해는 20.2% 감소한 2348억원을 기록했다. 경남은행은 169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3.7% 순이익이 감소했다. 경남은행은 지역경제 부진 여파로 요주의 대손상각비가 큰폭으로 늘었다. 경남은행 2018년 대손상각비는 230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90.1% 증가했다.
BNK금융은 "경남은행 NPL비율은 지역 주요산업 부진 지속에 따른 신규 부실 증가 영향으로 전년대비 상승했다"고 밝혔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