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방문에는 해외인프라·도시개발 지원공사(KIND), 수출입은행 등 해외건설 정책금융기관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 인천공항공사 등 인프라 공기업 및 건설·인프라 분야 민간 기업들로 구성된 지원단이 동행한다. 이들은 현지 기업과 지상사가 참석하는 합동 간담회를 개최하여 해외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진출 기업들의 현안 해소를 지원할 계획이다.
쿠웨이트에서는 스마트시티, 신공항 등 고부가가치 분야 성과 확산을 위해 노력한다. 세계 6위의 원유매장량을 보이는 자원부국 쿠웨이트는 해외건설 누적 수주 세계 3위(약 486억달러)이자 최근 유가상승으로 건설·인프라 시장 확대가 전망되고 있다.
정부 차원의 사업발굴과 협의·지원을 통한 스마트시티 첫 수출 사례인 ‘압둘라 신도시’와 역대 최대 규모의 공항운영사업(쿠웨이트 공항 제4터미널) 수주 등 그간의 모범사례를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투자개발사업 등으로 성과 확산이 기대된다.
김 장관은 쿠웨이트 주택부 장관(서비스부 장관 겸임), 공공사업부 장관 등과 면담을 통해 압둘라 신도시 건설, 쿠웨이트 공항운영 등에 쿠웨이트 정부의 전폭적 지원을 유도하여 성공적 추진을 돕는다. 국가철도망·메트로 투자개발 사업(약 180억달러, 내년 하반기 입찰예상) 등 주요 사업을 대상으로 우리기업 참여 방안과 정부의 지원방안 등을 심도 깊게 논의할 계획이다.
또 쿠웨이트 국왕의 관심사업으로 추진 중인 ‘자베르 코즈웨이(36.14km 해상교량 건설현장, 현대건설)’ 공사현장과 지난 8월부터 운영 중인 쿠웨이트공항 제4터미널을 방문해 시공상황 등을 점검하고 현장근로자를 격려할 예정이다.
카타르에서는 2022월드컵 프로젝트와 연계한 첨단 인프라 분야 협력을 추진한다. 2022년 월드컵 개최를 준비 중인 카타르와는 메트로·신공항 등 건설 프로젝트와 지능형 교통체계(ITS) 등 연계 사업을 중심으로 석유 플랜트 중심의 기존 진출분야를 다변화하기 위한 협력외교 활동을 수행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최근 유가상승과 중동국가들의 탈석유화 정책을 활용한 전략적인 진출을 통하여 주력시장인 중동에서 다소 침체된 해외건설의 반등을 위한 새로운 활력을 발굴하겠다”고 밝혔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