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북 양측의 ‘4.27 판문점 선언’에는 남북정상회담의 3대 의제인 한반도 비핵화, 항구적 평화 정착, 남북관계 발전 등의 내용들이 담길 전망이다.
그러나 이보다 진전된 ‘과거핵’에 관한 조처는 북-미 정상회담의 몫으로 남겨둘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와 반대로 나머지 두 주요 의제인 ‘항구적 평화 정착’과 ‘남북관계 발전’에 대한 합의는 상대적으로 더 많은 진전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 이미 앞서 실무자 회의 등을 거친 결과 휴전상태와 냉전체제를 끝낼 종전선언 및 평화체제 전환 로드맵에 관한 내용은 남북이 상당한 의견 접근을 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번 합의문에는 1992년 노태우 정부 시절 남북 고위급회담에서 남북이 합의한 ‘판문점 남북연락사무소’ 설치와 박근혜 정부 때 의욕적으로 추진한 ‘비무장지대 세계평화공원’ 설치 프로젝트 등 비무장지대(DMZ)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 밖에도 남북정상회담 정례화, 이산가족 상봉, 대북 제재 완화 이후 남북 경제교류협력 확대,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재개, 사회·문화·예술·스포츠 교류 등의 사안들도 ‘판문점 선언’에 포함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