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최종구 금융위원장이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각 금융업권 협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가계부채관리간담회를 열고 올해 가계부채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 사진= 금융위원회
[한국금융신문 서효문 기자] 실수요자들의 주택 구매 자금 부담이 오는 7월부터 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이 오는 7월부터 2금융권에 DSR(총체적 상환능력비율)을 시범 운영하기로 하면서 주택담보대출 문턱은 더 좁아지게 됐다.
최종구닫기최종구기사 모아보기 금융위원회 위원장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가계부채관리 간담회’에서 “가계대출 여신관리 강화를 위해 2금융권도 DSR, 개인사업자 대출 가이드라인, 예대율 규제 등을 도입하기로 했다”며 “DSR의 경우 오는 7월부터 2금융권에 시범 운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부족한 주택 구매 자금을 중도금 대출로 마련하려는 실수요자들의 부담이 확대됐다. 건설사들은 지난해 8.2 부동산 대책 이후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규제가 높아지자, 저축은행과의 협업도 꾀했다. 실수요자들도 은행권이 안되면 저축은행이라도 중도금 대출을 일으켜달라고 요구해왔다.
대형 건설사 한 관계자는 “8.2 대책 이후 강화된 주택금융으로 실수요자들의 주택 구매 자금 마련은 더 어려워졌다”며 “특히 올해 서울 주요 지역에서 9억원을 초과하는 고가 아파트가 분양한 가운데 저축은행 등 2금융권에서 대출 규제가 강화된다면 실수요자들의 부담은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지난달 26일부터 은행권에 적용된 DSR로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집단대출 보증을 받는 단지에 대한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아졌다”며 “시공사 중도금 대출 보증도 줄어들고 있는 가운에 실수요자들에게는 ‘HUG 보증 단지’가 장점으로 부각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