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토는 이를 위해 ‘아시아의 ICO 메카화’를 추진하는 싱가포르에 별도 법인(유한회사)을 설립해 '인슈어리움 프로토콜'을 구축, 운영할 예정이다.
이 플랫폼이 구축되면 보험상품 개발부터 판매, 언더라이팅(보험계약 인수심사), 리스크 관리, 보험금 지급까지 보험의 전 과정이 디지털화, 자동화됨으로써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이 과정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된다.
데이터 기업(개발자)들은 인슈어리움 프로토콜에 자신들이 보유한 전문적인 헬스케어 관련 각종 데이터를 입력해 수익화 할 수 있고, 보험사들은 이들이 입력한 다양한 기초통계와 데이터를 활용해 소비자들의 니즈에 맞는 맞춤형 보험상품을 개발할 수 있다. 또한 보험상품 개발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는 소비자들은 그 대가로 수익을 얻게 된다. 이에 수반되는 모든 거래의 지급수단은 ‘인슈어리움’으로 이뤄진다.
직토는 현재 인슈어리움 ICO의 첫 단계로 암호화폐펀드(Crypto-currency Fund) 등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인슈어리움 사모판매(Private sales)를 실시 중이다. 오는 4월 중순부터는 일반투자자를 대상으로 프리세일(Pre-sale)을 실시하고 5월 중 공모판매(Public sales)에 나설 계획이다. 회사 측은 인슈어리움 공모 목표금액 300억원 중 200억원 정도의 코인이 사모판매 및 프리세일 단계에서 판매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김경태 직토 대표는 "인슈어리움 프로토콜을 통해 보험사들은 잠재 보험소비자의 실질적인 니즈에 맞는 상품 개발과 유연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도모할 수 있고, 데이터 기업들은 보유한 데이터 기반의 상품 및 서비스 수익화가 가능하다"며, "최종적으로 보험사와 데이터 기업, 나아가 참여 소비자들 모두 ‘인슈어리움’을 통해 가치와 수익을 공유하는 자율적인 보험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앞서 KB국민카드, 교보라이프플래닛생명보험 등과 제휴해 헬스케어 데이터를 접목한 보험상품과 카드상품을 출시해 주목 받았으며, 지난해 초부터 SK텔레콤, 코인플러그 등과 함께 정부 주관 EHS(환경/건강/안전) 데이터 기반의 사물인터넷-블록체인 융합서비스 시범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했다. 또한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Forbes)가 꼽은 ‘2017년 주목할 만한 한국 스타트업 10대 기업’에 선정되기도 했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