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를 끄는 비결은 내년 종합과세제도를 앞두고 비실명제인데다 상속세와 증여세 등 과세가 면제되고, 과세 대상에서도 배제되기 때문에 재산의 노출을 꺼리는 고액의 개인자산가들이 주로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다면 이 물량을 누가 가지고 있는 것일까. 현재 이를 보유한 기관이 거의 없다는 게 일반적인 시각. 대부분 개인 자산가들이 소유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추측만 할 뿐이다. 일각에서는 로비용으로 정치권에 흘러갔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도 있다. 비실명이기 때문에 주고 받는 사람들이 부담이 없어 선호될 수 있다는 것.
하지만 발행 당시에는 IMF직후 채권시장이 극도로 경색된 분위기여서 채권을 인수하려는 기관이 거의 없어 채권 유통에 애를 먹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 당시 울며겨자먹기식으로 채권을 떠안았던 한국투신 등 3투신은 상당한 물량 인수로 부담을 느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차익을 남기고 시장에 내다 팔아 어려울 때‘효자노릇’을 했다는 평이다.
박용수 기자 pys@kftimes.co.kr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