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들은 당초 올초부터 수수료 인하가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했었다. 3월 결산을 앞두고 사상 최대의 순익이 예상돼 어느 해보다 공격적 경영이 가능하다는 분위기가 무르익었기 때문이다.
수익으로 수수료를 인하하면서 마켓셰어를 늘리는 것이 가장 단순하고 명쾌한 방법이기는 하지만, e-비즈니스로 통칭되는 새 영역에 대한 전략이 무리한 수수료 경쟁에 제동을 걸고 있다는 설명이다.
한동안 증권사들은 사이버증권사를 비롯한 신설 증권사로 인해 수수료 인하 문제를 심각하게 고민했다. 이들은 수수료를 업계 최소 가져간다는 데 별 이견이 없었다. 따라서 기존사 입장에서는 이들과의 한판 승부가 불가피하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다.
신설 사이버 증권사들과의 경쟁이 문제가 아니라 생존을 위해서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능동적으로 받아들이고, 여기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는 생각이다. 이에 따라 대형사들은 요즘 e-비지니스 전략에 무게를 둔 새로운 구상들을 구체화하고 있다.
다시 말해 수수료 인하를 통한 단순한 게임에 참여하느니 더 큰 게임을 준비해야 한다면 투자의 대상은 다르다는 설명이다. 아직 구체화되지는 않고 있지만, 대형사들은 e-비지니스 부문 투자비용을 극대화할 생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수수료 인하에 대한 투자비용은 후순위로 밀리고 있는 셈이다.
수수료 인하 경쟁은 충분히 예상했던 대로 대형사들이 어느 시점에 치고 나오느냐가 관건일 수밖에 없다. 시장에 미치는 파장이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미 대형사들의 생각이 바뀌고 있다는 점은 이같은 구도 자체가 깨질 가능성도 있다는 점에서 업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김병수 기자 bskim@kftimes.co.kr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