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한국금융연구원 주최로 열린 '2020년 경제 및 금융전망 세미나'에서 이준수 금융감독원 은행감독국장은 "전반적인 경제상황에 비해 연체율이나 건전성 지표가 좋아서 부실이 시스템 내 누적되거나 이연되는 게 아닌지, 더 큰 쇼크가 왔을때 터질 수 있는 게 아닐 지 걱정되는 부분이 있다"며 "은행들이 기본적으로 내년에 대손비용 관리를 강화할 필요성이 있는 시점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아울러 지방은행의 경우 시중은행보다 수익성 하향 우려가 크다고 봤다. 이준수 국장은 "지방은행은 지역 경기가 좋지 않고 중소기업 대출도 많아서 만기가 짧은 측면이 있다"며 "금리가 떨어지면 지방은행은 NIM(순이자마진) 하락폭이 훨씬 큰데 중장기 생존 전략에 대한 고민을 시작해야 할 타이밍이 아닌가 한다"고 제시했다.
정중호 하나금융경영연구소장도 중소기업 대출 '쏠림' 심화에 따른 건전성 관리 필요성을 짚었다. 정중호 소장은 "내년 신 예대율 규제가 도입되고 은행도 대출 볼륨을 일부 늘려야 한다는 점에서 기업대출 포트폴리오 조정이 일어날 것"이라며 "우량 중소기업 대출을 적정 지원하고 예대마진을 확보해야 하지만 시장이 포화된 측면이 있어서 건전성 우려가 좀더 커질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이대기 한국금융연구원 은행·보험연구실장은 '은행산업 환경 변화와 전망' 발표에서 내년 국내은행 대출 자산 성장률은 5%대 초중반으로 전망하고 수익성 관련 ROE(자기자본이익률)은 7%대 초반까지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자산건전성이 양호한 상황이기는 하지만 한계기업 비중과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경기부진이 계속될 경우 대손비용을 체크포인트로 꼽았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