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이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호텔에서 열린 신제품 ‘삼양 1963’ 출시 간담회에서 눈물을 애써 참으며 한 말이다. ‘삼양 1963’은 36년 전 ‘우지 파동’ 이후 사용을 중단했던 우지를 다시 부활시킨 신제품이다. ‘원가 고민하지 말고 무조건 맛있게 만들어보자’라는 김 부회장의 말에 따라 과거 삼양라면의 맛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세상에 내놨다.
1989년 삼양식품은 한 투서로 시작된 ‘우지 파동’에 휘말리며 기업이 흔들릴 정도의 위기를 겪었다. 해당 투서에는 삼양이 비위생적인 기름을 사용했다는 의혹이 담겼다. 이후 1995년 고등법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고 1997년 대법원에서 그대로 확정되며 사건이 종결됐다. 하지만 당시 이 사건으로 1000여 명 이상의 직원들이 회사를 떠났고, 삼양식품은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었다.
우지라면, 다시 내놓은 이유 '과거의 논란을 미래의 발판으로'
이미지 확대보기김 부회장은 “언젠가 우리가 다시 우지라면을 만들어야겠다는 열망이 늘 마음 속에 존재했다”며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하면서 내부 자신감도 커졌고, 다 같이 ‘우지라면’에 대한 이야기를 꺼냈을 때 에너지가 끓었다. 그래서 ‘삼양 1963’을 시작하게 됐다. ‘삼양 1963’은 저희 4000여 명의 임직원과 우지사건으로 당시 그만뒀던 직원들과 그 직원들의 가족의 염원이 담긴 제품이다”라고 설명했다.
김동찬 삼양식품 대표는 “우리는 과거의 잘잘못을 따지려는 게 아니라 그 시간을 통해서 배운 경험들을 앞으로, 미래로 이어나가려고 하고 있다”며 “삼양식품은 정직과 신뢰라는 가장 가치 있는 두 가지를 중요시하면서 기업을 운영하고 있다. 36년 전 과거에도 그랬고 앞으로도 이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면서 삼양식품은 끊임없이 배워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보기다만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고 있는 라면 시장에서 가격이 비싼 프리미엄 라면이 두각을 나타내기란 쉽지 않을 수 있다. 국물라면 시장의 정체는 지속되고 있고, 고물가로 인해 소비자들의 가격 민감도도 높아졌기 때문이다.
채혜영 삼양식품 브랜드부문장은 “프리미엄 시장에 대해 매년 조사를 실시했는데, 소비자들이 프리미엄 라면에 대한 인식이 열려 있는 걸 확인했다”면서 “지금 우리가 만든 라면이라면 시장에서 통할 수 있는 가격대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내수시장이 어려운 건 충분히 잘 알지만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최대한 많은 소비자들과 만날 계획”이라며 “우리들의 목표는 삼양라면의 그 이상 매출을 내는 것으로 하고 있다”고 자신했다.
깊고 진한 국물, 청양공추로 매운 맛을…국물라면의 세계화
이미지 확대보기이병훈 삼양식품 연구소장은 “소비자들이 시식했을 때 우리 제품을 친숙하게 느낄 수 있도록 개발하는 게 목표”라며 “불닭볶음면과 같이 계속 혁신적인 개발을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삼양식품은 내수시장을 먼저 공략한 뒤 ‘삼양1963’의 수출을 준비해나갈 계획이다.
이미지 확대보기다만 동물성 기름을 쓰는 탓에 콜레스테롤이나 칼로리 등 건강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윤아리 삼양식품 품질부문장은 “동물성 유지가 살찔 것 같다는 인식이 있지만 식물성 유지와 1g당 칼로리가 똑같다”며 “동물성이라 콜레스테롤에 대한 걱정이 있을텐데, 우리 제품에 들어있는 콜레스테롤 함량은 계란 노른자 1개보다도 낮다. 건강상의 위해가 없다고 말씀드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삼양식품이 출시한 ‘삼양1963’은 이날부터 시중에서 만나볼 수 있다.
박슬기 한국금융신문 기자 seulgi@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기술특례상장 1호’ 헬릭스미스, 새주인 만나 ‘명예회복’ 시동 [시총 2위의 추억 ③-끝]](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setimgmake.php?pp=006&w=110&h=79&m=5&simg=2025110223333102639dd55077bc211821821462.jpg&nmt=18)


![중대재해로 고개 숙인 건설사…“안전 최우선” 결의 다짐 [2025 국감 결산 - 건설사]](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setimgmake.php?pp=006&w=110&h=79&m=5&simg=2025110223514402676dd55077bc211821821462.jpg&nmt=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