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닫기

김 의원에 따르면 영풍 석포제련소의 환경 관련 법 위반은 2014년부터 올해까지 약 11년간 무려 103회에 달한다. 끊임없는 환경오염과 환경 관련 법 위반을 이어오고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영풍 석포제련소가 지금까지 당국으로부터 받은 조업정지 제재 일수만 90일이 넘는다.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은 영풍 석포제련소가 당국의 통합환경허가조건 조차 제대로 지키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다.
강 의원은 "지금 (석포제련소) 1, 2공장 (토양정화) 이행률은 5% 밖에 안 되고, 그리고 외부 하천부지 등 이행률은 거의 제로"라며 "지금 (토양정화 명령 이행) 기간이 올해 말까지"라고 지적했다. 당국의 토양정화 명령 이행 시한을 또 다시 지키지 못할 가능성을 지적한 것이다.
지속적인 환경법규 위반과 제재, 제재를 늦추기 위한 소송 등이 반복되면서도, 토지정화 등 제대로된 환경개선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영풍 석포제련소를 폐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정치권에서 더욱 커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은 영풍 김기호 대표이사에 대한 증인 질의에서 “아주 나쁜 집단이에요. 그러니까 조업정지 1차, 2차 내렸는데 계속 법적으로 소송을 통해서 지연시키고 연기시키고 이런 거잖아요?”라며 “그 지역이 낙동강 상류에 있다라는 것 아닙니까? 그래서 1,300만 시민들의 식생활 용수로 사용된다라는 거예요”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선 낙동강 주변 지역의 환경오염과 관련해 영풍 석포제련소 측이 충분한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데도 이를 해결할 의지가 부족한 것이라는 의구심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국감에서는 영풍그룹 오너인 장형진 고문을 출석시켜 석포제련소 환경오염과 중대재해, 폐쇄 여부 등에 대해 직접 확답을 받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김형동 의원은 증인으로 출석한 김기호 영풍 대표이사에게 "오늘 이 과정에 대해 장형진 고문에게 제대로 보고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종감에 반드시 나오셔가지고 이 부분에 대한 책임을 지겠다고 약속, 확답을 저희 위원회에서 꼭 받아야겠다"고 말했다.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종감 때 장형진 고문을 부르는지 안 부르는지 한 번 보십시오"라고 밝혔다.
곽호룡 한국금융신문 기자 horr@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