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정비업계에 따르면, 13일부터 29일까지 진행되는 국토교통위원회 국감에 10개 건설사 대표에게 출석 요구가 전달됐다.

대부분 건설사 안전사고와 관련해 13일 출석으로 채택됐으나, 금호건설의 경우 29일 별도 일정으로 ▲건설사고 ▲안전사고 ▲오송지하차도 참사 부실시공 등 세 건의 사유로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사고 특수성 때문에 별도 일정으로 잡힌 셈이다.
금호건설은 지난 2월 서울 동대문구 제기동의 동북선 도시철도 공사 현장에서 하청업체 소속 근로자(57·남)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근로자는 공사장 지하에서 H빔(H모양 강철 기둥) 제작 작업 중 후진하는 굴착기에 깔리는 사고를 당했다.
여기에 지난 3월 금호건설이 시공하는 ‘청주테크노폴리스’ 공사 현장에서 건설기계 해체 작업 중 이동식 크레인 붐대가 꺾이면서 50대 근로자를 덮쳤다. 이 사고로 크게 다친 근로자는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숨졌다.
특히 금호건설은 2023년 ‘오송 지하차도 참사’를 빚었던 건설사로 악명을 떨친 바 있다. 이 사고는 청주 궁평2지하차도가 침수된 사건으로, 14명이 숨지고 10명이 부상을 당한 대형 참사다.
당시 금호건설은 미호천교 제방도로 확장공사 편의를 위해 기존에 있던 제방을 무단으로 철거한 뒤 부실하게 임시제방을 쌓는 등 참사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공했다.
오송참사 외에도 같은 해 4월 2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경기 성남시 ‘정자교 붕괴사고’의 시공사도 금호건설로 드러나면서, 각종 인사사고에 기업 이미지마저 실추된 바 있다.
서희건설 이봉관 회장·김원철 대표 출석 사유는 공식적으로는 주택 공급과 건설 정책 등의 구조적 문제 진단 및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것이라고 명시됐다. 다만 증인 신청 사유가 명목상일 뿐 실제로는 특검 조사의 일환이라는 평가다.
앞서 이 회장은 2022년 3월 당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부인 김건희 여사에게 반클리프 아펠 목걸이 등을 선물하며 자기 맏사위인 검사 출신 박성근 씨를 국무총리 비서실장으로 임명해 달라며 인사청탁을 했다.
서희건설은 이 문제로 지난달 서울 서초구 양재동 본사 사옥이 특검팀으로부터 압수수색을 당하기도 했다.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이사는 가덕도 신공항 건설공사의 수의계약 일방 파기 문제와 윤석열 정부 관저 공사 특혜 의혹 등을 이유로 출석 대상이 됐다.
여기에 현대건설은 지난 3월 서울 동대문 제기4구역 재개발 현장에서 붕괴 사고로 1명이 숨졌다. 같은 달 경기 파주 한 아파트 건설 현장에서도 콘크리트 낙하 사고로 1명이 숨졌다. 이어 6월에는 서울 은평구 재개발 현장에서 토사에 매몰돼 1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있었다.
박현철 롯데건설 대표는 쌍령공원 민간개발 특례사업 관련 유동성 점검과 대책을 묻기 위해 증인 출석 대상이 됐다.
여기에 지난 9월 경남 김해시 불암동 공사현장과 인천의 롯데건설 모델하우스 철거 현장에서 각각 1명씩 중대재해가 발생했다.
김보현 대우건설 사장, 정경구닫기


먼저 대우건설은 지난 2022년부터 올해 1분기까지 사망사고 12건을 내며 중대재해 최다 기업이라는 불명예를 썼다. 이에 김 사장은 취임 10개월 만에 국감에 소환될 예정이다.
정경구 HDC현대산업개발 대표는 지난 2월과 5월 건설현장에서 사망사고가 3일 발생하면서 출석 대상이 됐다.
서울세종고속도로 교량 붕괴로 4명이 사망하고, 평택 아파트 현장 추락사고로 1명이 사망한 사고의 시공사 주우정 현대엔지니어링 대표도 출석 예정자로 지목됐다.
포스코이앤씨의 경우 7월 경남 함양~창녕 고속도로 공사현장에서 근로자 사망 사고가 발생한 뒤 안전 관리 인프라 및 감독 체계 강화 의지를 밝혔지만, 불과 한 달도 못 돼 또 다른 현장에서 근로자가 감전으로 의식불명 상태로 발견돼 부정적 여론에 휩싸였다.
이에 지난 8월 정희민 전 대표는 자리에서 물러났고, 송치영 대표가 임명되면서 이번 국감에 참석하게 됐다.
허윤홍 GS건설 사장은 지난 9월 성동구 용답동 현장에서 발생한 추락사로, 이해욱 DL그룹 회장은 지난 8월 DL건설이 시공하는 경기 의정부 신곡동 건설현장에서 일어난 추락사로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올해 건설업계에 중대재해 사고가 워낙 많이 발생했고, 정부·국회 등 사회적으로 지탄을 받는 분위기가 형성됐다”며 “대부분 건설사 CEO는 증인 출석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주현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gun1313@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