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1992

대한민국 최고 금융경제지

닫기
한국금융신문 facebook 한국금융신문 naverblog

2025.09.12(금)

“AI가 인재 골라준다”…부활한 증권사 공채에 ‘디지털 채용 바람’ 부나

기사입력 : 2025-09-12 14:22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ad

삼성·한국투자·메리츠 등 대규모 신입 공채…정부 AI 고용서비스 도입에 채용 패러다임 전환 예고

서울고용센터에서 열린 인공지능으로 여는 고용서비스 오픈토크 현장 모습. 사진=한국고용정보원이미지 확대보기
서울고용센터에서 열린 인공지능으로 여는 고용서비스 오픈토크 현장 모습. 사진=한국고용정보원
[한국금융신문 김희일 기자] 국내 증권사들이 모처럼 훈풍을 맞아 공채 시장이 다시 살아나는 가운데, 정부가 도입한 AI 고용서비스가 금융권 채용 방식에도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된다.

삼성증권, 한국투자증권, 메리츠증권, 키움증권, DB증권 등 주요 증권사들이 올해 하반기 대졸 신입사원 공채에 본격 나서는 가운데, 정부가 이달 발표한 ‘AI 기반 고용서비스’가 향후 채용 절차의 새로운 도구로 부상할 수 있을지 주목을 모으고 있다.

●공채 부활한 증권가…“핵심 인재 미리 잡자”
12일 금융투자협회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 전체 임직원 수는 올해 상반기 3만8812명으로 작년 동기 대비 166명 늘었다.

증권사들은 단기 충원이 아닌 장기적 인재 육성 전략으로 공채 확대에 나서고 있다.

삼성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은 상·하반기 연속 공채를 진행 중이며, 메리츠증권은 15년 만에 대졸 신입 공채를 재개했다. 키움증권과 DB증권도 하반기 공채를 예고하며 WM, IB, SF, S&T, IT 등 전 부문 인력 확보에 나서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채용 확대가 단순히 경기 반등에 따른 반짝 채용이 아닌 글로벌 경쟁력 확보와 미래 성장 대비 차원에서 나타난 구조적 변화다”고 말했다.

정부, AI 고용서비스 도입…“증권사 채용 효율성·정확성 높일 것”
이런 가운데 고용노동부는 지난 12일 ‘AI 고용서비스’ 4종을 공개했다. 핵심은 ▲지능형 직업심리검사 ▲데이터 기반 취업확률 예측 ▲AI 직업훈련 추천 ▲구인공고 AI 자동작성이다.

특히 전문성과 정량적 평가가 동시에 필요한 증권업 채용에 AI가 접목될 경우, 채용의 정밀도와 속도면에서 획기적인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AI 기반 고용서비스를 활용할 경우 직업심리검사를 통해서 금융권 업무에 적합한 성향·사고방식을 사전에 분석하고, 6개월 내 취업확률도 예측해 지원자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부족한 역량은 맞춤형 직업훈련 경로를 추천해 교육과 채용도 연결시킨다.

기업입장에선 AI가 구인공고를 자동 생성시키고 직무 요건에 맞는 인재군도 빠르게 확보시켜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I가 PB를 구해주고, IT 인재도 골라줘

올해 들어 MTS(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 로보어드바이저, AI 기반 자산관리 솔루션 수요가 급증하면서 증권사들이 IT 인재 채용을 늘리고 있다. 실제 상반기 기준 IT 직군 채용공고는 전년 대비 두 배 가까이 늘었다.

AI 고용서비스는 수리능력·리스크 감수성·디지털 적응력 등 직무 특성에 맞는 역량 기반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PB(프라이빗뱅커)나 IT 엔지니어처럼 다층적 평가가 필요한 직군에 이들 인력을 배치하는 데 효과적이다.

증권업계 한 인사담당자는 “단기간 내 여러 부문에서 동시 채용이 필요시 AI 기반 직무매칭은 적합 인재를 신속히 선별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 며, “1차 인사 필터링 도구로 AI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말했다.

●정부 “금융권도 AI 채용 대상”…산업 도입 논의 시급

고용노동부는 AI 서비스가 고도화된 직무 분석 모델을 기반으로 설계됐으며, 금융·법률·IT 등 고도 전문직 채용에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내년에는 ‘기업 맞춤형 채용지원 플랫폼 ‘펌케어’를 도입해 구인공고 작성부터 인재 추천, 채용 가능성 예측까지 통합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AI 고용서비스가 도입되기 위해선 산업별 특화 역량모델 개발과 충분한 학습데이터 확보가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한 인사전문가는 “AI는 채용의 공정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도구다. 하지만, 정량 평가에만 치우치지 않도록 정성적 요소와 다양성 확보 기준도 함께 설계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희일 한국금융신문 기자 heuyil@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issue
issue

김희일 기자기사 더보기

증권 BEST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