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의 올해 상반기 지배주주지분 당기순이익은 1조245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 전 부문 수익성 감소… 상품 포트폴리오 강화 통해 CSM 환산 배수 개선

보험부문별로 보면 ▲장기보험 전년 동기 대비 7.9% 감소한 8334억원 ▲자동차보험 전년 동기 대비 79.5% 감소한 307억원 ▲일반보험 전년 동기 대비 8.3% 감소한 1068억원 등의 손익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신계약 CSM은 1조421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2% 감소했다. 보장성 보험에서 인보험은 1조347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0% 줄었고, 물보험은 74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7% 증가했다.
다만, 월평균 신계약 CSM은 18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늘었다. 이는 올해 2분기 수익성 개선으로 보장성 환산배수가 회복된 것이 주요한 영향을 미쳤다. 보장성 CSM 환산배수는 13.8배로 직전 분기와 비교해 1.9배 개선됐다.
올해 2분기 기준 장기보험 위험손해율은 94.5%로 전년 동기 대비 7.5%p 악화됐다. 삼성화재는 손해율 상승의 절반 이상을 실손보험이 차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담보별로 보면, 사고 보험금 증가로 인해 진단 수술 등 생존 담보 손해율이 상승했다. 사망이나 재물 등도 대외적인 요인과 대형 사고 등이 발생하면서 손해율이 악화됐다.
자동차보험은 누적된 요율 인하와 손해율 상승으로 보험 종목 중 가장 크게 감소했다. 손해율과 사업비율을 합산한 합산비율은 94.7%에서 98.9%로 악화됐다. 이에 삼성화재는 수익성 중심의 프라이싱 전략으로 수익 재원을 확보하고 손해 관리력 제고 및 신성장 모델 강화를 지속 추진해 흑자 사업 구조를 정착시키겠다고 설명했다.
일반보험은 보험수익이 전년 동기 대비 5.9% 성장한 8473억원을 기록했지만, 고액사고 발생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 국내 사고로 손익이 줄었다. 해외법인 보험손익은 24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2.5% 성장하며 역량을 강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화재는 하반기 재물보험 전략 프라이싱 정책 강화와 특종, 해상 보험 중심 안정적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지속해 추진하고, 사고 예방 및 안전관리 활동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자·배당 수익 확대 투자이익 개선… 경상 요인 영향 K-ICS비율도 상승
투자이익은 안정적 손익 구조 기반으로 전년 동기 대비 5.6% 증가한 1조5052억원을 기록했다. 투자이익률은 3.64%로 전년 동기 대비 0.14%p 개선됐다.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영향 등으로 평가 손익이 축소됐지만, 보유 이원 제고를 위한 채권 교체, 매매 등 운영 효율 개선 노력으로 이자 및 배당 수익이 증가한 것이 손익 개선에 주요한 영향을 미쳤다.
삼성화재는 하반기에 국내 부동산과 소매 대출 등 자산 건전성 및 선제적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고이원 이자 소득 자산 확보와 고수익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지속할 계획이다.
자산 건전성 부문에서 올해 상반기 기준 K-ICS비율은 274.5%로 직전 분기인 266.6%와 비교해 7.9%p 개선됐다. 기본자본비율도 직전 분기 대비 7.8%p 상승한 166.4로 집계됐다.
이용복 RM 팀장은 “거시 지표인 주가 상승, 단기 수익과 CSM 규모 확대 등 경상 요인에 따라 K-ICS비율이 개선됐다”며 “경상 요인인 이익 증가와 거시 지표인 시장 금리 인하도 소폭 완화되는 부분이 있어 연말 K-ICS 비율은 260% 수준 이상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용복 팀장은 “최근 금융 당국에서 보험산업 건전성 TF 등을 통해 할인율 현실화 등에 논의하고 있다”면서도 “아직 명확하게 결정된 사항이 없어 현재 K-ICS 비율 타겟은 220%로 보고 운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강은영 한국금융신문 기자 eykang@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