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책은행들과 함께 우리나라 기업들의 친환경 에너지 개발에 힘을 보태는 한편, 석탄 프로젝트 등 기존에 진행하던 사업들도 모두 정리해 탈탄소 행보를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구체적으로는 오는 2030년까지 25조원 규모의 녹색금융을 공급하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시중은행 최초 ‘그린론’ 출시…풍력·태양광 금융 주선
하나은행은 지난 2021년, 국내 시중은행 최초로 1000억원 규모의 친환경 프로젝트 한정 대출인 ‘그린론(Green Loan)’ 주선에 성공할 정도로 꾸준히 친환경사업에 집중해왔다.지난해 하나은행은 연료전지 발전사업을 비롯한 탄소 배출 감소 및 재생 가능 에너지 사업과 친환경 인프라 사업에 약 2조원 규모의 친환경 프로젝트 투자를 진행했다. 육상풍력개발 분야의 강자인 코오롱글로벌과 손잡고 140억원(약정 기준) 규모의 ‘육상풍력개발펀드’ 조성에 나서기도 했다.
여기에 이어 지난 4월에도 산업은행과 함께 강원 삼척시 도계읍 일대 50MW급 삼척도계 풍력발전단지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조달에 나섰다. 이 프로젝트의 EPC 공사도급계약은 지난해 10월 체결됐다. 하나은행과 산업은행은 공동 주선을 통해 리스크 분산과 금융조달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기로 했다.

2030년까지 60조원 규모 ESG 투자 청사진
하나금융그룹은 오는 2030년까지 환경·지속가능 부문에 총 60조원 규모의 여신, 채권, 투자 규모를 달성하는 ‘2030 & 60’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사업을 포함한 ESG 영역에 대한 자금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이를 위해 지난 2021년, 하나은행은 국내외 석탄 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신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및 채권 인수를 전면 중단하는 탈석탄 금융을 선언했다. 2050년까지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고, 신재생에너지 시장 확대에 기여할 계획도 세웠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하나은행은 지난해에도 6억 달러 규모의 지속가능채권을 발행했다. ESG 채권 투자는 매년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며 2030년까지 17조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나금융은 국내외 탄소 감축 솔루션과 에너지전환 인프라 구축 등 친환경 프로젝트 투자도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미 하나은행은 지난해 연료전지 발전사업을 비롯한 탄소 배출 감소 및 재생 가능 에너지 사업과 친환경 인프라 사업에 약 2조원 규모의 친환경 프로젝트 투자를 진행했으며 이를 통해 연간 약 20만톤의 탄소 감축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나은행, 부채 중심에서 자본 중심으로 전환 준비
하나은행의 IB그룹을 이끌고 있는 것은 투자금융 전문가로 꼽히는 전호진 부행장이다. 전 부행장은 지난 30년간 외환은행과 하나은행에서 근무하면서 절반 이상을 투자금융부에서 근무한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그는 2000년 외환은행 투자금융부에 합류해 2004년과 2005년 투자금융부 전문역을 역임했으며, PF본부장 자리를 역임하기도 하는 등 전분야에 걸친 실무 경력을 쌓았다. 하나은행 IB그룹은 크게 투자금융본부와 부동산금융본부로 나뉜다.
특히 투자금융본부는 지난해 말 조직개편을 통해 신설된 시너지부문 내 자본시장본부와 함께 부채 중심의 금융 구조를 자본 중심으로 전환하는 데에 골몰하고 있다.
장호성 한국금융신문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