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우형닫기

금융업계에서는 케이뱅크가 투자자들에게 설명해야 할 변수로 ▲실적 ▲1은행-1거래소 원칙 폐지 ▲소호·서민 전문 은행 설립 등을 꼽는다.
23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지난 12일 증권사 등을 대상으로 IPO 주관사 선정을 위한 입찰제안요청서(RFP)를 발송했다.
경제 환경·증시·주관사 등 IPO 성공을 위한 조건은 다양하지만, 결국 관건은 기관투자자들의 기업가치 평가다.
케이뱅크는 지난 2021년 9월 상장 준비 당시 7조원의 기업 가치를 희망했고, 지난해 IPO에서는 5조 3000억원 수준을 목표로 했지만 침체된 증시와 기관투자자 설득 실패로 상장을 철회했다.
케이뱅크가 최대 2.5배 이상의 PBR을 제시했던 점을 고려하면 기업가치 현실화가 필요한 것도 사실이지만, 결국 중요한 것은 제시한 기업가치에 대해 투자자들을 설득해 내느냐의 문제다.
은행권 관계자는 "케이뱅크의 경우 1분기 실적이 크게 하락했고, 업비트 의존도가 높은 상황인데 1거래소-1은행 규제가 해지될 가능성도 있어 해당 부분에 대한 설득이 IPO에 있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추락한 1분기 실적···수익 다각화 역량 입증해야

케이뱅크가 투자자들과 만나 가장 먼저 입증해야 할 것은 '수익성 제고 역량'일 것으로 보인다.
2021년 흑자 전환 이후 4년 연속 흑자를 보인 케이뱅크는, 지난해 2023년의 10배에 달하는 역대 최대 순이익 1281억원을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올 1분기 순이익은 작년 1분기보다 68% 이상 하락한 161억원에 그쳤고, 이자이익도 같은 기간 20% 넘게 줄었다. 2.4%에 달했던 순이자마진도 1.41%로 떨어졌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조정 기조로 인한 이자수익 감소와 수신 고객 확대, 가상자산 관련 이자비용 증가 때문이었다.
반면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등 다른 인터넷은행들은 같은 업황을 겪으면서도 역대 최대 실적을 이뤄냈다.
이는 케이뱅크가 당국의 기조에 따라 변동성이 커지는 이자수익, 특히 업비트 관련 수익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올해 1분기 기준 케이뱅크 수신잔액의 약 19.7%는 업비트 고객 예치금이었다.
은행업계 관계자는 "카카오뱅크와 토스뱅크는 플랫폼 DNA를 이식 받아 이자수익 외에도 플랫폼 관련 신사업 등을 통해 수익다각화에 나서고 있다"며 "케이뱅크도 경쟁을 위해서는 새로운 전략이 필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1거래소-1은행 규제 해제될 수도···대안 필요성↑
엎친데 덮친 격으로 1거래소-1은행 규제에 대한 민원과 반대의견도 계속되고 있다.1거래소-1은행 규제는 명문화 돼있지는 않지만, 자금세탁과 보안 등의 문제로 금융당국이 강력하게 권고하는 일종의 '그림자 규제'다.
국민의힘에서 해당 규제를 풀겠다고 약속했지만, 금융당국이 규제 완화를 유예하겠다고 발표한 상황이다.
문제는 케이뱅크와 업비트의 계약기간이 올해 10월까지이고, 대선 이후 정황에 따라 해당 규제가 풀리게 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시중은행들은 새로운 먹거리를 위해 1거래소-1은행 규제가 풀리기를 바라는 눈치"라며 "어느 후보가 당선되든 정책금융을 확대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를 위해선 시중은행이 원하는 방향으로 당국의 기조가 흘러갈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케이뱅크가 업비트와의 재계약에 성공해도 1거래소-1은행 규제가 완화된다면 고객과 수익이 분산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안을 찾고, 미래 먹거리와 수익성에 대해 투자자들에게 확신을 주어야 기업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을 수 있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조언이다.
새로운 소호·서민금융은행 설립 리스크도
최우형 행장은 케이뱅크의 수익성 강화 전략으로 소호금융과 AI 강화를 들었다.실제로 케이뱅크는 개인사업자 대상 '사장님 부동산담보대출'을 출시했고, 오는 2027년까지 100% 비대면 법인대출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에 더해 기업 대출 재원 마련과 AI 인프라 투자 확대를 위한 1000억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추진하고 있다.
인터넷은행으로서의 정체성을 살린 전략이지만, 최근 복병이 나타났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나란히 소상공인·서민금융 전문 은행 설립을 공약으로 내세운 것이다.
새로 설립된 은행이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소상공인 저금리 대출 상품 판매에 나설 경우, 케이뱅크의 입지가 흔들릴 가능성이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자금이 절박한 소상공인은 편의성과 비금융 혜택보다 금리가 0.1%라도 낮은 대출을 선택하기 마련"이라며 "공약에 따라 새 은행이 출범할 경우 고객이 나눠지는 것은 어쩔 수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성훈 한국금융신문 기자 voicer@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