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DB손해보험은 차량 블랙박스 영상을 활용한 AI 기반 자동 과실비율 판정 시스템을 개발하고 관련 특허를 취득했다.
기존에는 보험 심사자가 수작업으로 영상을 분석하며 판단의 주관성이 개입될 여지가 컸다. 이번 AI 시스템 도입으로 보험금 청구부터 지급까지 처리 속도가 단축되고 업무 효율성도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DB손보는 해당 시스템을 실무에 적용해 보험금 지급 절차의 자동화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심진섭 DB손보 전략혁신본부장은 "AI 기술을 활용한 과실비율 판정은 보험 처리 과정의 자동화 및 객관화를 통해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혁신적인 접근"이라며 "향후 다양한 보험 분야에서 AI 기술 적용이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문화닫기

삼성화재는 AI 콜센터를 통해 고객 니즈를 실시간 분석해 마케팅과 상품 정책에 반영하고, 새로 출시될 '보장 어카운트' 상품에 AI 기반 보장 설계를 적용할 예정이다.
이 상품은 복잡한 특약을 단순화하고, 디지털 환경과 연계해 고객 접근성을 높였다.
KB손해보험도 보험과 AI를 접목하기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ML(머신러닝) 기반의 예측모델(보험 갱신 예측)과 고객 업무 지원을 위해 챗봇·콜봇 서비스에 AI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특히 올해 초 조직 개편을 통해 AI데이터분석 파트를 신설했다. 이를 통해 ▲AI신기술 도입 ▲데이터 분석 ▲AI모델링 ▲AI·데이터 거버넌스 관련 업무를 추진한다.
아울러 AI 도입·개발·운영을 담당하는 부서와 정보보호, 소비자보호를 담당하는 부서 등이 함께하는 'AI윤리위원회' 구성을 검토 및 추진할 예정이다.
이 곳에서는 AI 기술의 윤리적 활용과 AI기술 관련 위험관리의 사전·사후 대응전략 수립 등 최고의사결정기구로서 기능할 계획이다.
강은영 한국금융신문 기자 eykang@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