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 시각)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모든 수입품에 기본 10% 관세를 부과하고, 약 60여 교역국에 추가로 징벌적 관세를 얹는 상호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했다. 하지만 이후 백악관은 의약품의 경우 관세 부과에서 제외된다고 밝혔다.
이로써 국내 바이오업계는 최악의 상황은 면하게 됐다. 당초 트럼프는 의약품에도 관세를 25% 이상 부과할 것이라고 공언 바 있다. 셀트리온과 SK바이오팜 등 미리 상호관세에 대응을 준비하고 있던 바이오 기업들도 한숨 돌리게 됐다. 이들 기업은 관세가 부과된다면 현지 생산기지와 파트너십을 늘리겠단 방안을 공식적으로 발표한 바 있다.

한 바이오업계 관계자는 이와 관련, "트럼프의 25% 관세가 실제로 적용된다면 현지 생산기지가 없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손실이 가장 클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다행히 당장은 관세 폭탄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황이지만, 일각에선 안심할 수 없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의 자국 중심주의에 따라 현지 생산을 유도하는 정책이 이어질 수 있단 관측이다.
지난 2월 트럼프 대통령은 화이자, 머크(MSD) 등 주요 다국적 제약사의 최고경영자(CEO)들을 백악관으로 불러 생산기지를 미국으로 이전하라고 압박한 바 있다.
당시 그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의약품에 최소 25%의 관세를 물리겠다"면서 "미국으로 생산시설을 이전하면 관세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코스피시장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전날 대비 6만3000원(6.0%) 오른 111만3000원에 마감했다. 트럼프의 관세 폭탄에서 의약품이 제외된다는 소식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김나영 한국금융신문 기자 steaming@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