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국내 20대 그룹의 2024 사업보고서를 봤더니 '유통 라이벌' 신동빈 롯데 회장과 이재현닫기


이재현 회장은 CJ 지주사에서 156억2500만원, CJ제일제당에서 37억4900만원 등 총 193억7400만원을 받았다. 지난 2023년(99억3600만원)보다 약 2배나 많은 금액이다. 다만 이는 3개년 누적 영업이익을 종합해 한 번에 지급하는 CJ의 독특한 장기 인센티브가 작년 연봉에 포함한 영향도 있다. 이 회장은 지난해 총 157억8400만원의 상여를 수령했는데, 이 가운데 56%인 87억6400만원이 장기 인센티브 명목으로 지급됐다.
신동빈 회장은 롯데지주, 롯데케미칼, 롯데칠성음료, 롯데웰푸드, 롯데쇼핑 등 5개사에서 모두 178억3400만원을 받았다. 지주사 연봉이 크게 줄었지만 식품 계열사에서 받은 돈이 늘어나 결과적으로 전체 연봉은 전년보다 소폭(0.3%) 인상됐다.
신 회장의 보수총액은 확정된 수치는 아니다. 호텔롯데, 롯데물산 등이 아직 지난해 사업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았다. 신 회장은 작년 반기(1~6월) 기준으로 두 회사에서 19억600만원을 수령했다. 이것만 더해도 작년 연봉은 197억4000만원으로 이재현 회장(193억7400만원)을 넘어 가장 많은 보수(퇴직금 제외)를 수령한 총수가 된다. 신 회장은 지난 2023년에도 재계 보수 1위였다.

연봉 인상률이 가장 높은 총수는 셀트리온 서정진닫기



이와 달리 재계 서열 5위권 그룹은 총수 연봉을 깎거나 유지했다.
이재용닫기

최태원닫기

현대차그룹 정의선 회장은 2023년 122억100만원에서 2024년 115억1800만원으로 6% 줄었다. 영업이익 상승세가 꺾인 현대차 상여를 전년보다 14억이나 줄인 것이 눈에 띈다. 정 회장은 올해부터 현대차·현대모비스 뿐만 아니라 기아에서도 월급을 받는 만큼 앞으로 총보수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구광모 LG 회장도 보수총액이 83억2900만원에서 81억7700만원으로소폭 줄었다.
오너기업은 아니지만 재계 5위에 올라있는 포스코는 최정우 전 회장에 퇴직금을 제외한 1~3월분 급여·상여 8억2500만원을, 장인화 현 회장에 12억2300만원(4~12월분) 등 총 20억4800만원을 지급했다. 2023년 최 전 회장이 지급받은 34억4100만원보다 40%나 깎였다.
곽호룡 한국금융신문 기자 horr@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