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지난해 비은행 순익 기여도가 4%대까지 떨어졌던 하나금융지주의 개선세가 돋보인다. 다만 신한금융의 경우 기여도가 3년 연속 하락하고 있어 개선이 절실한 상황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KB금융지주의 지난해 비은행 계열사 순이익 기여도는 40%에 달한다. 전년도보다 7%p(포인트) 성장했다.
KB손해보험을 필두로 ▲증권 ▲카드 ▲라이프생명 등의 순이익이 고루 증가하면서, 주춤했던 은행의 순이익을 상쇄하고 지주의 실적 확대를 이끌었다.
신한금융지주의 경우 4대 금융지주 중 유일하게 지난해 비은행 계열사 순이익 기여도가 전년도보다 후퇴했다.
2021년에는 비은행 자회사의 약진으로 지주 순이익 기여도가 42.4%까지 상승했지만, 3년 연속 기여도가 떨어져 지난해에는 25.2%를 기록했다.
희망적인 것은 '신한라이프'의 성장이다. 2021년부터 꾸준히 성장세를 이어온 만큼, 지주 순이익 다각화의 버팀목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나금융지주도 하나증권과 하나카드의 순이익 증가에 힘입어 지난해 비은행 기여도가 11%p 상승한 15.7%를 기록했다.
하지만 모든 비은행 계열사가 성장하며 기여도가 30%를 넘어섰던 2021년과 비교하면 절반 이하로 떨어진 수준이어서, ▲캐피탈 ▲자산신탁 ▲생명보험 ▲저축은행 등의 성장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비은행 자회사 포트폴리오가 미진한 우리금융도 기여도가 10%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지만, 지난해 1.6%p 상승하며 반등의 신호탄을 쐈다.
올해 우리투자증권이 본인가를 받아 본격적인 순이익 상승에 나서고, 동양·ABL생명 인수합병이 성공적으로 진행될 경우 비은행 계열사 기여도 역시 지금의 두 배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성훈 한국금융신문 기자 voicer@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